명절을 지나고 나면 어김없이 남는 음식들은 ‘문제’로 다가온다. 특히 갈비찜, 잡채, 전 등은 많은 양을 조리하는 특성상 남는 경우가 잦으며, 이를 활용하지 못하면 음식물 쓰레기로 처리되거나 명절의 풍요로움이 퇴색되는 아쉬움을 남긴다. 귀한 명절 음식이 단순한 잔반으로 남는 현실은 분명 해결해야 할 ‘문제’이며, 여기에 대한 ‘해결책’이 제시되었다.
박찬일 셰프는 이러한 명절 음식의 잔존 문제를 인지하고, 남은 음식을 새로운 요리로 재탄생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단순히 음식을 ‘처리’하는 것을 넘어, 명절의 풍미를 유지하면서도 실용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첫 번째 ‘솔루션’은 바로 ‘갈비찜 잡채볶음밥’이다. 명절에 흔히 남는 갈비찜의 양념과 물러진 채소, 그리고 잡채를 활용하여 볶음밥을 만드는 방식이다. 냄비에 남은 갈비찜 양념을 덜어내고, 뼈와 물러진 당근 등을 추려낸 후, 고추장 반 큰술과 잡채, 김가루를 첨가하여 볶아낸다. 식용유를 따로 넣지 않아도 갈비소스와 잡채에 이미 기름이 충분하기 때문에 느끼함 없이 담백하게 즐길 수 있다. 고추장은 단맛과 매운맛을 더해주며, 신 김치를 다져 넣는다면 또 다른 풍미를 느낄 수 있다. 이 ‘솔루션’은 남은 갈비찜과 잡채를 1인분의 맛있는 볶음밥으로 변모시켜 ‘문제’를 해결한다.
두 번째 ‘솔루션’은 ‘전 두루치기’다. 명절의 단골 메뉴인 전 역시 남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두루치기로 재탄생시키는 아이디어다. 두루치기는 조림이나 볶음과 유사하지만 즉석에서 조리하는 듯한 신선한 느낌을 주는 요리다. 잘 익은 김치, 파, 고춧가루, 다진 마늘, 캔 참치, 치킨스톡을 주재료로 사용한다. 냄비에 식용유를 두르고 마늘과 파를 볶다가 캔 참치와 물, 치킨스톡을 넣고 끓인다. 여기에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 김치와 전을 넣고 고춧가루를 풀어 바글바글 끓이면 두루치기가 완성된다. 특히 두부전이 남았다면 더욱 풍성한 맛을 즐길 수 있으며, 전에서 우러나오는 기름 덕분에 국물이 진하고 깊은 맛을 낸다. 이 ‘솔루션’은 남은 전을 ‘문제’ 삼지 않고, 오히려 풍미를 더하는 매력적인 재료로 활용한다.
이러한 박찬일 셰프의 ‘솔루션’들은 명절 음식이 남는다는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갈비찜 잡채볶음밥’과 ‘전 두루치기’는 남은 음식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요리로 재창조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식탁의 풍요로움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창의적인 재해석은 명절의 여운을 즐기면서도 지속 가능한 식문화를 실천하는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