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긴 연휴 기간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민들이 문화생활을 제대로 즐기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9월 25일부터 ‘공연·전시 할인권’ 2차 배포를 시작하며 국민들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2차 배포는 총 36만 장의 공연 할인권과 137만 장의 전시 할인권을 제공하여, 바쁘다는 이유로 미뤄왔던 문화생활을 알차게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지난 1차 발행 시 나타났던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1차 발행에서는 사용 유효기간이 6주로 설정되어 발급 후 기간 내에 사용하지 못하는 비율이 높았던 점을 고려하여, 2차 할인권부터는 사용 유효기간을 1주일로 단축했다. 이는 실사용률을 높여 실제 문화 향유로 이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전략이다. 할인권은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발급되며, 발급받은 할인권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기간 내에 사용하지 못한 할인권은 자동 소멸되지만, 매주 목요일 새로운 할인권이 발행되므로 문화 소비를 원하는 국민들은 다음 기회를 활용할 수 있다.
할인권은 네이버예약, 놀티켓, 멜론티켓,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7개 주요 온라인 예매처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온라인 예매처별로 공연은 1만 원, 전시는 3천 원의 할인권이 매주 인당 2매씩 발급되며, 결제 1건당 1매의 할인권이 적용된다. 특히, 할인권은 총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적용되므로, 개별 티켓 가격이 할인권 금액보다 낮더라도 여러 장을 구매하여 최소 결제 금액 이상을 충족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더불어, 이번 2차 배포에서는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방안도 마련되었다.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전국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권의 경우, 공연은 1만 5천 원, 전시는 5천 원으로 할인 금액이 상향 조정되었다. 이는 수도권 외 지역 주민들의 문화 접근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조치이다. 다만, 할인 적용 대상은 연극, 뮤지컬, 클래식, 국악, 무용 등 순수 공연 예술 분야와 시각 예술 분야 전시에 한정되며, 대중음악, 대중무용, 산업 박람회 등은 제외된다.
이러한 정책은 연휴와 같이 긴 시간을 활용하여 문화생활을 영위하고자 하는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 소비의 문턱을 낮춤으로써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침체된 공연 및 전시 예술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매주 새롭게 발급되는 할인권을 통해 다양한 공연과 전시를 경험하며 마음의 양식을 쌓는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