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문화예술 향유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2차 공연·전시 할인권 배포가 시작되었으나, 그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수도권에 집중된 문화 혜택에 대한 불균형과 비수도권 거주자들의 문화 접근성 문제는 오랜 기간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전국 단위 할인쿠폰뿐만 아니라 비수도권 지역민들을 위한 전용 할인권이 추가로 발행된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새롭게 도입된 2차 공연·전시 할인권은 1차 때와 마찬가지로 전국 단위 할인쿠폰과 함께 제공되지만, 이번에는 비수도권 지역민들을 위한 별도의 할인권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할인권은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등 일부 예매처를 통해서만 발급 가능하다. 각 예매처에서 공연 및 전시 유형별로 2매씩 제공되며, 1매당 공연은 15,000원, 전시는 5,000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이는 전국 할인권보다 더욱 확대된 혜택으로, 비수도권 지역민들의 문화 소비 부담을 크게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1차와 달리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되며, 발급받은 쿠폰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만 사용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이번 할인권 사업은 11월 27일까지 진행되며, 미사용 쿠폰은 유효기간 경과 시 자동 소멸된다.
이러한 할인권 정책은 비수도권 지역의 문화예술 거점을 활성화하고, 지역 주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예를 들어,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시민이 ‘네이버 예약’을 통해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을 예매할 경우, 할인권 적용으로 인해 정가보다 훨씬 저렴하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이번 뱅크시 사진전은 대구 북구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에서 열렸으며, 전시뿐만 아니라 굿즈 판매, 포토존, 체험 공간까지 갖추어 다채로운 경험을 제공했다. 특히, 뱅크시의 대표작인 <풍선을 든 소녀>가 분쇄되기 전 모습을 담은 영상 자료와 함께 그의 작품 세계를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단순히 전시 관람을 넘어, 지역 예술 공간이 보유한 기획력과 콘텐츠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할인권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된다면, 지방 문화의 활력 증진과 함께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더욱 쉽게 접하고 소통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