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소비 증가로 인한 가계 부담 증가는 많은 국민들이 체감하는 어려움 중 하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가 민생 회복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상생페이백’을 시작하며 주목받고 있다. 상생페이백은 지난해 특정 기간(9월~11월) 동안의 카드 소비액이 이전 평균보다 증가한 국민들에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일정 금액을 환급해 주는 정책이다. 이는 급증하는 물가와 생활비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가계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이 정책은 구체적으로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의 카드 소비액이 이전 평균 카드값보다 증가한 경우, 그 증가분의 20%를 환급해 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월 최대 10만 원, 3개월간 총 30만 원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받을 수 있으며, 이 상품권은 전통시장 및 상점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신청 대상은 2024년도에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의 모든 국민이며, 환급된 금액은 지급일로부터 5년간 유효하다.
상생페이백 신청 절차는 매우 간편하다.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kr)에 접속하여 본인 인증 후 신청하면 된다. 다만, 디지털온누리 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치 및 가입 절차가 필요하다. 신청 기간은 9월 15일(월) 9시부터 11월 30일(일) 24시까지이며, 9월 20일(토)부터는 요일제 상관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소비액 계산에서 제외되는 항목들도 존재하므로, 신청 전 ‘소비액 불인정 사용처 확인하기’를 통해 목록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몰, 명품 전문 매장, 해외 사용 등은 소비액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배달앱 등도 일부 제외될 수 있어 가급적 동네 상권 위주로 현장 결제하는 것이 유리하다.
환급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다양한 곳에서 활용될 수 있다. 10월 15일(수)부터 첫 번째 환급이 시작되며, 온누리시장을 비롯한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 식료품, 농산물, 반찬류 등을 구매할 수 있다. 더 나아가 11월부터는 배달앱 ‘땡겨요’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소상공인을 위한 플랫폼에서도 소비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식품 외에도 가전, 생활용품 등 실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제품들을 구매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상생페이백은 단순히 소비를 늘린 가계에 혜택을 주는 것을 넘어, 지역 소비 활성화와 상권 활성화에도 직접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환급된 온누리상품권이 전통시장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함으로써 상생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앞으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처가 더욱 확대된다면, 소비자와 소상공인 모두에게 더 큰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상생페이백을 통해 많은 국민들이 건강한 소비 습관을 정립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동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