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사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약해지고, 일상생활 속에 외래어가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는 2025년 10월 9일 목요일, 한글날을 맞아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기념행사를 개최하며 우리말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올바른 사용 문화를 확산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행사에 참여한 시민들의 뜨거운 관심에도 불구하고, 공공언어에서의 외래어 남발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이번 행사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되었으며, 잔디밭 위에 설치된 부스에서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특히,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는 지역별 사투리의 다양성을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참여자들은 우리나라 지도에 자신이 아는 사투리나 고향 사투리를 직접 적어보는 활동을 통해 잊혀져가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재확인했다. ‘겉절이’를 뜻하는 ‘재래기’와 같이 지역마다 다른 표현들이 지도 위에 채워지면서, 참여자들은 자신이 알지 못했던 풍부한 사투리의 세계를 발견하며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더불어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순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담은 엽서 제작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은 원하는 순우리말을 골라 캘리그라피 기법으로 엽서를 꾸미며, 우리말 단어가 지닌 본연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고르는 게임을 통해 우리말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으며, 정답자에게는 우리말 가꿈이 전용 물티슈를 제공하기도 했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이라는 단어 자체의 의미를 탐구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이 ‘크고 으뜸 되는’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배우며, 어릴 때부터 사용해왔지만 그 정확한 의미를 간과하고 있었음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여실히 드러냈다.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를 우리말로 바꾸는 질문에 많은 참여자들이 어려움을 겪었다. 운영진의 힌트 덕분에 ‘누리소통망’과 ‘언급’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로 약속했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은 우리 일상에서 외래어가 얼마나 당연하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였다. 이미 많은 말들이 우리말로 충분히 대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습관적으로 외래어를 사용하고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순간이었다.
행사에 참여했던 한 시민은 “생각보다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는 유익한 행사였다”며 “올림픽공원이라는 좋은 장소에서 가을볕 아래 잠시 쉬어가며 우리말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우리말 가꿈이>는 이번 행사를 통해 한글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젊은 세대의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작가로서 작은 위로를 받았다고 전했다.
이번 기념행사는 <우리말 가꿈이> 회원들뿐만 아니라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도 10월 한 달간 다양한 형태의 체험 및 홍보부스가 운영될 예정이다. 다만, 행사 장소와 날짜는 변동될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다채로운 행사들을 통해 하루빨리 특정 기념일이 아니더라도 평상시에 한글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형성되기를 기대하며, 내년 한글날을 기약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