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여름, 연일 이어지는 폭염과 폭우라는 이상기후 현상은 많은 이들의 심신을 지치게 만들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상에서 벗어나 기분 전환을 하고 싶지만, 시간과 비용의 제약으로 당장 여행을 떠나기 어려운 현실에 봉착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가 독서 문화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도서관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의 일환으로, ‘가가77페이지’는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에게 깊이 있는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전국 도서관에서 주로 진행되던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독립 서점이라는 새로운 공간으로 확장된 것은 주목할 만한 변화이다.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가가77페이지’는 SNS 홍보를 통해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 참여자를 모집 중이다. 이 프로그램은 7월 21일(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며, 참여자들은 매주 정해진 시간에 서점에 모여 영화 감상과 함께 인문학적 토론을 나누게 된다. 이는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참여자들이 각자의 삶과 연결되는 성찰을 이끌어내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가가77페이지’의 이상명 대표는 인문학의 본질이 “생각할 수 있는 생각의 밭과 이해를 할 수 있는 마음의 밭을 넓히는 것”에 있다고 강조하며,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을 통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인문학적 주제를 친숙한 영화와 연관 지어 접근하고자 했다. 선정된 영화들은 12세 이상 관람가(일부 15세 이상)로 제한하여 폭넓은 연령층의 참여를 유도했으며, 철학, 문학 서적과의 연계를 통해 깊이 있는 탐구를 가능하게 했다. 첫 번째 강의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상영한 후,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을 주제로 깊이 있는 강연과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사유를 나누는 시간으로 구성되었다. 참여자들은 활동지에 자신의 생각을 기록하고 공유하며 “나를 깨운 문장”, “내 목소리를 찾아본 순간” 등 영화를 통해 발견한 자신만의 메시지를 되새겼다.
이상명 대표는 “매주 월요일 저녁이 기다려진다”며,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을 통해 만나는 참여자들과의 소통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AI가 발전할수록 인문학의 활용 영역은 더욱 커질 것”이라며, AI 시대에 필요한 사고 체계화의 근원으로서 인문학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책방 역시 책 판매를 넘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가가77페이지’가 다양한 문화를 담고 즐기며 행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희망했다.
프로그램 참여자 박근주 씨는 SNS를 통해 ‘가가77페이지’의 소식을 접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단순히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인문학적 사유를 자신의 삶에 연결하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반복되는 일상에서 벗어나 강연자와 참여자들과 소통하며 삶의 리듬감을 느끼고 싶다는 그의 바람은, ‘길 위의 인문학’이 제공하는 또 다른 가치를 보여준다. 박근주 씨는 프로그램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져, 꾸준한 성찰과 대화를 통해 인문학적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기를 기대했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 아래, 인문학과 지역 문화, 책과 길, 저자와 독자, 공공도서관과 지역 주민이 만나는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열어가고 있다. ‘가가77페이지’에서 펼쳐지는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은 이러한 사업의 취지를 성공적으로 실현하며, 지역 서점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반기에도 전국 곳곳에서 이어질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은, 이상기후로 지친 마음을 치유하고 삶과 공동체를 위한 지혜와 통찰을 얻고자 하는 이들에게 훌륭한 선택지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