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도시의 정체성을 높이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문화도시’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정작 시민들에게는 그 의미와 성과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단순한 문화 행사 개최를 넘어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해야 하는 문화도시 사업의 근본적인 필요성이 무색하게, 가까운 대도시로의 인구 유출과 지역 소멸 위기라는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
지난 2025 문화도시 박람회에 참석한 한 시민은 자신의 고향인 대구가 제4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이후에도 지역 주민은 물론 가족들조차 그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이 제4차 문화도시로 선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을 대표하는 이미지가 뚜렷하지 않아 시민들이 타 지역으로 발걸음을 옮기는 상황이 빈번하다는 것이다. 이는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상품 개발이나 유휴 공간을 예술가의 창작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등 문화도시가 추구해야 할 본질적인 역할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문제 의식 속에서 2025 문화도시 박람회는 각 문화도시의 구체적인 사업 사례를 공유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장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박람회에 참여한 대구 달성군은 문화활동가 양성, 달성문화교실, 문화달성미래포럼, 청년축제 위터스플래쉬 등 세대별 맞춤 사업을 통해 지속 가능한 문화 생태계를 구축하고 시민이 주체가 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들락날락 매거진’과 같은 홍보 자료를 통해 다양한 소재의 사업을 추진하고 청년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북 칠곡군은 인문학에 초점을 맞춘 칠곡로컬팜투어, 우리동네 문화카페, 주민기획 프로그램, 칠곡인문학마을축제 등을 통해 주민들이 함께 어울리며 인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10월 18일부터 19일까지 개최될 ‘칠곡 문화거리 페스타’는 주민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되어 지역 문화 활성화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문화로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포럼에서는 밀양, 속초 등 타 지역의 문화도시 추진 사례를 통해 인구 유출과 감소, 지역 소멸에 대한 깊은 고민을 공유했다. 비록 4차 도시는 이번 포럼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논의는 대구와 같이 청년 유출이 심각한 지역이 ‘오래 살기 좋은 도시’, ‘발전하고 있는 도시’라는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지금부터라도 기울여야 함을 절감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문화도시 사업의 성공은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에 달려 있다. 각 문화도시에서 운영하는 카카오 채널,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최신 소식을 주기적으로 접하고, 박람회와 같은 행사에 참여함으로써 문화도시의 가치를 공유하고 확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2025 문화도시 박람회를 통해 제4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달성군과 칠곡군이 앞으로 보여줄 행보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지역 주민들의 자부심을 고취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성공적인 문화도시 사례로 거듭나기를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