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 소멸 위기가 지역 관광 산업의 최대 화두로 떠오르며, 이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 마련을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차별화된 콘텐츠 개발과 지속 가능한 관광 모델 구축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지역 곳곳에서는 매력적인 행사들이 새롭게 기획되며 관광객들의 발길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최하는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은 바로 이러한 지방 소멸 위기라는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 사업은 중앙 정부 주도의 일률적인 관광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 스스로 관광 서비스의 문제점을 발굴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제를 제안받아 지원하는 것을 핵심으로 합니다. 궁극적으로는 현장 주도형으로 관광 서비스 체계를 전환하고, 지역 관광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사업의 일환으로 영덕문화관광재단이 추진하는 ‘블루로드로 다시 오게’ 프로그램은 대형 산불 참사 이후 감소한 관광객을 다시 영덕 블루로드로 불러들이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입니다. 가성비 높은 여행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액티비티 체험과 웰니스 체험을 결합한 두 가지 테마 코스를 마련하였으며, 블루로드 트레킹, 서핑, 맨발 걷기 체험 등 지역의 특색을 살린 맞춤형 관광 요소를 제공합니다. 이는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하여 관광객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하려는 시도입니다.
또한, 완주문화재단 역시 스쳐 지나가는 관광지가 아닌, 지역의 일상과 문화를 직접 체험하며 머무는 관광 자원으로 전환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지역 먹거리와 마을 이야기를 결합한 미식 체험형 프로그램을 통해 방문객들에게 지역의 깊은 매력을 전달하고자 합니다. 이처럼 영덕군과 완주군을 포함한 2025년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공모사업 선정 지역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새로운 관광 패러다임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한편, 군산문화관광재단은 20년 만에 부활한 군산항 여객터미널을 ‘2025년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을 통해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켰습니다. 과거 군산항 여객터미널로 사용되던 공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은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 휴식, 문화의 중심지로 조성되었습니다. 특히, 옛 여객터미널의 모습을 최대한 재현한 1층 공간은 군산의 복고적인 매력을 강화하며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2층에는 휴식 공간과 독립영화 상영관, 대관 회의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옥상에서는 군산 내항과 동백대교를 조망할 수 있는 탁 트인 공간을 제공합니다. 지난 30일 진행된 개관 행사에서는 어부의 일상을 보여주는 연극과 노래, 희망 종이비행기 날리기, 미션 스탬프 투어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많은 이들의 호응을 얻었습니다.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에 선정된 군산문화관광재단, 강원관광재단, 영덕문화관광재단, 완주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진흥원, 경주화백컨벤션뷰로 등 6개 지역은 이처럼 지역 고유의 자원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문화 콘텐츠를 발굴하고 개발하며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군산항 여객터미널의 성공적인 재탄생은 단순히 낡은 공간을 복원하는 것을 넘어, 지역의 역사와 기억을 간직한 상징적인 장소가 지역 주도로 새롭게 거듭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이러한 사업을 통해 지역은 시민들에게는 추억의 장소이자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관광객들에게는 지역의 정체성을 되살리는 핵심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제 대한민국 곳곳에서 변화된 관광 서비스를 직접 경험하며 지역 고유의 매력을 만끽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