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고유의 자원과 문화를 활용한 지속 가능한 관광 콘텐츠 개발이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의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전국 각지에서 매력적인 행사가 펼쳐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2025년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을 통해 구체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 사업은 중앙 정부 주도의 일률적인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스스로 관광 서비스의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해 나가는 현장 주도형 체계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영덕문화관광재단의 ‘블루로드로 다시 오게’ 사업과 완주문화재단의 미식 체험 프로그램은 주목할 만하다. 영덕의 ‘블루로드로 다시 오게’는 대형 산불 참사 이후 감소한 외지 관광객을 다시 유치하기 위해 기획된 가성비 여행 체험으로, 블루로드 트레킹, 서핑, 맨발 걷기 등 액티비티와 웰니스 체험을 결합한 맞춤형 관광 요소를 제공한다. 또한, 완주문화재단은 지역 먹거리와 마을 이야기를 담은 미식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스쳐 가는 관광지를 머무는 관광 자원으로 전환하는 데 힘쓰고 있다. 이 두 사업 모두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지속 가능한 관광 모델을 설계하고 있다.
특히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을 통해 새롭게 재탄생한 사례로 군산항 여객터미널을 들 수 있다. 군산문화관광재단은 폐쇄된 지 20년 만에 옛 군산항 여객터미널 공간을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이라는 이름의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했다. 이 공간은 과거 군산항 여객터미널의 모습을 최대한 재현하여 시민과 관광객에게 복고적인 매력을 선사하며, 체험, 휴식, 문화가 어우러진 거점으로 기능하고 있다. 지난 30일 열린 개관 행사에는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많은 인파가 몰려들었고, 특히 과거 여객터미널을 이용했던 세대에게는 깊은 감회를 선사했다. 1층은 옛 여객터미널의 모습을, 2층은 휴식 공간과 독립영화 상영관, 회의실 등을 갖추었으며, 옥상에서는 군산 내항과 동백대교를 조망하며 개관 행사가 진행되었다.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은 단순히 과거의 공간을 복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지역의 문화적 변화를 체감하고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문화공간으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지역주도형 사업이 과거의 상징적인 장소를 지역 정체성을 되살리는 핵심 공간으로 재탄생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군산 외에도 군산문화관광재단, 강원관광재단, 영덕문화관광재단, 완주문화관광재단, 대구문화예술진흥원, 경주화백컨벤션뷰로 등 총 6곳의 선정 지역은 각자의 고유한 색깔을 드러내며 지역 관광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지역 주도의 관광 서비스 혁신은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대한민국의 지역 관광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