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청년들이 겪는 현실적인 고민과 다양한 취향을 문화 콘텐츠와 연결하여 성장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도록 돕는 특별한 행사가 열렸다.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개최된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청년들의 자기 이해와 연결, 그리고 영감 탐색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곧 바쁜 일상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개성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직면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이 행사의 핵심은 ‘청년문화사용법’이라는 명칭에서도 드러나듯, 청년 스스로 자신의 문화적 취향을 발견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도록 유도하는 데 있다. 2030 세대의 취향을 반영한 팝업 스토어 형태로 운영된 이번 행사는, 마치 MBTI 검사처럼 청년들이 자신을 탐색하는 과정을 흥미롭게 만들었다. 1층 ‘탐색의 방’에서는 참가자들이 자신의 오래된 취미와 최근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다양한 문화 성향을 발견하는 시간을 가졌다.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은 ‘낯섦의 설렘’, ‘쾌감’과 같은 감각적인 표현이나 ‘야구’, ‘일러스트’, ‘서점’과 같이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선택지로 제시되어, 참가자들이 자신의 경험에 집중하며 자연스럽게 자기 자신을 탐색할 수 있도록 했다.
더 나아가, ‘고민 전당포’ 코너는 청년들이 마음 편히 자신의 고민을 나누고 타인의 경험을 통해 위로와 조언을 얻을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참가자들은 자신의 고민을 적어 제출하고, 다른 사람이 제출한 고민이 담긴 종이를 받아봄으로써 혼자만 힘든 것이 아니라는 안도감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뭘 해도 의욕 없는 날이 자꾸 길어져서 두려워요. 이런 경험이 있으신가요?’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낯선 이의 진심이 담긴 짧은 문장이 곧 자신에게 전해지는 조언처럼 다가오는 경험은 연결의 힘을 실감하게 했다.
2층 ‘연결의 방’에서는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직접적인 활동으로 연결하고 타인과 공유하는 현장이 펼쳐졌다.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다양한 단체들이 부스를 마련하여 자신들의 취미를 알리고 교류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정책 제안 온라인 창구인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는 청년들이 직접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투표를 통해 정책 의제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경험하게 했다. 현장에서 ‘청년 재테크 교육’ 정책 아이디어를 남기며, 다양한 배경의 청년 의견을 살펴보는 것은 ‘우리가 무엇을 놓치고 있는가’에 대한 깊은 성찰의 기회를 제공했다.
3층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곧 직업이 된 사람들과 함께하는 강연이 진행되어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영감을 불어넣었다. 책을 좋아하는 참가자들은 ‘작가의 문장이 세상에 닿기까지’라는 토크콘서트에 참석하여 민음사 마케팅팀 조아란 부장과 김겨울, 정용준 작가로부터 출판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실제 경험에서 우러나온 이러한 이야기들은 책을 좋아하는 청년들의 꿈을 현실로 만드는 데 중요한 동기를 부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 행사는 청년들이 겪는 현실적인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이 어떻게 문화로 연결되고, 나아가 성장의 동력이 될 수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둔 시점에서 개최된 이러한 행사는 청년 정책이 단순히 경제적 지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청년들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까지 아우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앞으로도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춰 이러한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고 지지하며 진정한 힘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