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 ‘청년의 날’이 다가오지만 많은 청년들은 이 기념일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어떤 의미가 있는지조차 명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법정기념일로 제정된 청년의 날이 청년들의 권리 증진, 자립, 그리고 성장을 응원하기 위한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그저 스쳐 지나가는 또 하나의 날로 여겨지고 있다는 점은 분명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청년들을 위한 다채로운 행사들이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준비된다고 하지만, 정보 접근성의 어려움이나 행사 내용에 대한 막연한 기대로 인해 참여를 망설이는 청년들이 존재한다는 점 역시 간과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올해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일주일간 전국적으로 ‘청년주간’이 운영되었다. 이는 단순한 기념일을 넘어, 청년들이 실질적으로 고민하고 공감할 수 있는 주제들을 다루는 다채로운 행사들을 통해 청년들을 지원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진로, 창업, 문화, 심리, 관계, 자기 계발 등 청년들이 현재 마주하고 있는 다양한 어려움과 고민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들이 마련된 것이다. 특히, 각 지방자치단체의 누리집에 게시된 ‘청년정책’이나 ‘청년센터’ 관련 메뉴, 그리고 지자체 공식 SNS 채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으며,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에서도 ‘청년의 날’ 또는 ‘청년의 날 + 지역명’을 검색하여 유용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또한, 올해 열린 다양한 지역별 행사들은 청년들이 자신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했다. 예를 들어, 은평구에서 열린 ‘은평청년톡톡콘서트’에서는 김태호 PD의 강연을 통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 콘텐츠 기획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미디어 산업 분야를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영감을 제공했다. 순천의 <청년의 날 X 주말의 광장> 행사에서는 로이킴 공연이, 안성시의 <안성청년 쉴래말래?> 청년 축제에서는 개그우먼 김영희 토크콘서트와 안성 청년가왕 행사가 개최되어, 각 지역의 개성을 살린 프로그램으로 청년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켰다. 이러한 행사에 수어 통역이 제공되어 정보 접근의 평등성을 높이고 다양한 청년들의 참여를 독려한 점은 긍정적인 부분으로 평가된다.
이처럼 청년의 날을 전후로 열리는 다양한 행사들은 청년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무엇을 좋아하고 왜 그 일을 하고 싶은지에 대해 다시 한번 되새길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작년 ‘위라클’ 유튜브 채널 운영자 박위의 강연처럼,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고 자신만의 미디어를 만들어가는 이야기는 많은 청년들에게 귀감이 되었으며, 올해 김태호 PD의 강연 역시 ‘나를 찾아 떠나는 무한도전’이라는 주제로 청년들에게 깊은 성찰의 시간을 선사했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은 청년들이 잠시 멈춰 서서 자신을 돌아보고, 새로운 영감을 얻으며, 의미 있는 추억을 쌓아갈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이러한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청년들은 진로에 대한 막막함을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