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층이 정책을 단순히 ‘주어지는 것’으로만 인식하며 정책 과정에서 소외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대학생 시절, 장학금, 취업 지원, 문화 혜택 등 ‘받는 것’에 국한된 정책 경험은 청년들을 정책의 수동적인 수혜자로 머물게 했다. 이는 곧 청년들의 목소리가 정책 결정 과정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문제로 이어진다. 그러나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활동을 통해 정책이 누군가의 기획과 실행으로 만들어지는 결과물임을 체감하고, ‘내가 경험한 문제와 목소리가 정책 과정에 반영된다면 더 나은 제도가 만들어질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 속에서 청년들이 정책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실에서 운영하는 ‘청년인재DB’가 주목받고 있다. 이 누리집은 청년들이 단순한 정책 수혜자에 머무르지 않고 직접 정책을 제안하거나 집행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개인의 이력과 관심사를 등록하면 정책위원회, 자문단, 기자단 등 다양한 활동 기회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청년을 ‘정책을 받는 사람’에서 ‘정책을 만들어가는 사람’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자는 이 서비스를 통해 회원가입을 하고, 기자단 활동 경험, 현장 정책 사례, 청년 당사자로서 정책에 바라는 점 등을 담아 자기소개서를 작성했다. 이는 단순한 지원을 넘어 정책 과정의 한 축이 될 수 있다는 현실감을 안겨주었다.
청년인재DB를 통해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실무위원회 위촉직 청년위원에 지원한 경험은 이러한 가능성을 더욱 구체화한다. 이 자리는 명예직이 아닌, 청년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다양한 정책 의제에 대한 논의와 자문을 맡는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지원 버튼을 누르는 순간, 그동안의 활동과 관심이 구체적인 참여로 이어지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DB의 가장 큰 장점은 프로필 등록만으로 관련 담당자가 먼저 연락을 주고 참여를 제안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는 기회를 찾아다니는 수고로움을 덜고, 정책과 청년을 연결해 주는 든든한 매개체가 되어준다.
프로필을 등록하고 관심사를 드러냄으로써 제도 개선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은 청년들이 더 이상 정책의 수동적인 수혜자로 머물 필요가 없음을 시사한다. 이는 곧 청년 스스로가 사회 변화를 만드는 동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취업, 주거, 교육, 문화생활 등 청년의 삶과 가장 밀접한 제도들은 정책에서 비롯되므로, 청년이 직접 참여해 의견을 개진하고 제도를 감시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청년인재DB는 이러한 가능성을 열어주는 관문으로서, 앞으로 더 많은 청년이 이 제도를 알고 활용하여 정책을 ‘받는 것’에만 머물지 않고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책은 멀리 있지 않으며, 우리가 서 있는 자리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목소리를 내며 직접 참여하는 순간 정책은 우리 곁에서 살아 움직이게 된다. 청년인재DB는 그 출발선이며, 더 많은 청년이 그 문을 두드리고 함께 사회를 바꿔나가는 주체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