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헨리 여권지수가 발간된 지 20년이라는 긴 역사를 통틀어 전례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한때 세계 최강의 여권으로 군림했던 미국 여권이 처음으로 세계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것이다. 2014년 부동의 1위 자리를 차지했던 미국 여권의 위상이 크게 하락하며, 현재는 말레이시아와 함께 공동 12위에 머물렀다. 이는 전 세계 227개 여행지 중 미국 여권 소지자가 무비자 또는 도착 비자로 방문할 수 있는 목적지의 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특정 국가의 외교 정책, 국제 관계의 변화, 그리고 비자 협정의 변동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과거 미국 여권이 누렸던 높은 순위는 미국과의 우호적인 외교 관계를 맺고 있는 다수의 국가로부터 부여된 비자 면제 혜택 덕분이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국제 정세의 변화와 각국의 비자 정책 재검토 과정에서 이러한 혜택이 조정되면서 미국 여권의 경쟁력이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말레이시아와 공동 12위라는 순위는 여권의 강력함을 측정하는 지표가 단순히 외교적 관계뿐만 아니라 경제적, 정치적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미국 여권이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고 해서 그 효용성이 완전히 상실된 것은 아니다. 여전히 227개 목적지 중 상당수에 대해 무비자 또는 도착 비자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은 간과할 수 없다. 이번 순위 하락은 미국 여권이 가진 현재의 경쟁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외교 및 비자 정책 수립에 있어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미국이 과거의 명성을 되찾고 여권의 강력함을 다시 확보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국제 환경에 발맞춘 능동적인 외교 활동과 전략적인 비자 협정 체결이 중요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