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헨리 여권지수가 20년의 역사를 기록하는 동안, 미국 여권의 위상이 예상치 못한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과거 2014년만 해도 부동의 1위를 자랑했던 미국 여권이 이제는 말레이시아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공동 12위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아든 것이다. 이는 전 세계 227개 목적지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여권 파워 지수에서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전례 없는 사건으로, 미국 여권의 상대적 약화라는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렇다면 왜 미국 여권의 힘은 이토록 급격히 약화된 것인가. 헨리 여권지수는 각국 여권 소지자가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는 국가 수를 기준으로 여권의 강력함을 측정한다. 이러한 지표에서 미국 여권이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는 것은, 그동안 미국 여권으로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접근 가능했던 국가들이 이제는 비자 요건을 강화했거나, 혹은 다른 국가들의 여권이 급격히 파워를 증대시키며 상대적으로 미국 여권의 영향력이 희석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미국이 국제 사회에서 차지하는 외교적, 경제적 영향력의 변화와도 무관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과거와 달리 미국이 국제 사회에서 가지는 영향력이 다소 줄어들었거나, 혹은 다른 신흥 강국들의 부상이 두드러지면서 상대적인 비교 우위를 잃었을 수 있다.
이번 미국 여권 파워의 하락은 단순한 순위 변동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이 겪고 있는 국제 관계의 재편과 외교 정책의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일 수 있다. 만약 미국이 과거의 명성을 되찾고 여권 파워를 다시 강화하고자 한다면, 이는 단순히 비자 정책의 변화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에서의 리더십 회복과 외교적 관계 강화를 포함하는 보다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미국 여권은 다시 한번 강력한 위상을 되찾고 미국 시민들의 국제적 이동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