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종료된 9월 동행축제가 6634억 원이라는 역대급 매출을 기록하며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는 단순한 소비 진작을 넘어, 최근 심화되고 있는 내수 침체와 소상공인들의 경영난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 의지를 보여준다. ‘동행축제’는 바로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국민의 소비 심리를 되살리고 소상공인들에게 희망을 불어넣기 위한 범국가적인 행사로 기획되었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다양한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수많은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제품의 판매를 촉진했다.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2만 7000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전년 동기 대비 26배(6700만 원) 증가하는 등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또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적인 사례를 증명했다.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도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이 발생했다.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를 목표로 삼아,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76%와 24%로 높여 지역 상권 활성화에 집중했다. 제주 개막식과 롯데백화점 상생 판매전 역시 각각 8500만 원과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이와 더불어 1000만 명이 응모한 10억 원 규모의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와 7개 TV 홈쇼핑사 및 7개 카드사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는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의 매출 증대에 기여했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및 집중호우 피해 지역에 대한 할인 쿠폰을 발급하며 사회적 책임까지 다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동행축제’의 성공적인 결과는 단순히 일회성 이벤트의 성과를 넘어, 대한민국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내수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정부는 향후 ‘동행축제’와 ‘코리아 세일 페스타’ 등을 통합하여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개최할 예정이며, 이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소비 촉진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재확인시켜 준다.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들이 꾸준히 이어진다면, 현재 직면한 내수 침체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더욱 건강한 경제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