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한국어와 한글이 ‘K-문화’의 중심에서 세계적인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으나, 그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고 더욱 확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전 세계 87개국에 설치된 세종학당에는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 문화를 접하고 있다. 이는 한글이 더 이상 한국만의 고유한 문자가 아님을 분명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러한 긍적적인 흐름 속에서도, 보다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한국어와 한글의 세계적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부는 한국어와 한글을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로 만들기 위한 다각적인 정책을 추진한다. 먼저, 언론과 뉴미디어를 포함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에 힘쓸 예정이다. 이는 내국인들이 한국어를 더욱 쉽고 정확하게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한국 문화의 깊이와 다양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 학습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하여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더 나아가, 한글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활용한 다양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 지원함으로써 한글의 산업적 가치 창출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특히,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한국어 기반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는 것은 미래 언어 기술 경쟁에서 한국의 입지를 강화하는 중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한국어와 한글은 명실상부한 글로벌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K-팝의 노랫말, 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통해 전 세계 팬들과 소통하는 한국 문화의 힘은 우리 말과 글의 섬세하고 풍부한 표현력에서 비롯된다. 유튜브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를 즐기려는 세계 청년들의 증가는 이러한 가능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정부의 이번 정책은 한글의 창제 정신인 백성을 향한 사랑과 혁신의 가치를 계승하고, 민족의 정신적 버팀목으로서 한글의 위상을 더욱 높일 뿐만 아니라, 세계 문맹 퇴치에 기여한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의 정신과도 맥을 같이 한다. 궁극적으로는 ‘초격차 K-APEC’을 지향하는 이번 APEC과 같은 국제 행사에서도 한글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