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K-문화의 눈부신 확산 이면에 자리한 근본적인 힘은 바로 한국어와 한글의 고유한 우수성과 잠재력에 있다. 전 세계 87개국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의 다채로운 문화를 향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한글이 더 이상 우리만의 문자가 아님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는 한국어와 한글이 지닌 확장성과 보편성이 이미 세계적인 인정을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K-문화의 원천인 한국어와 한글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국무총리는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을 강조하며,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세종학당을 확대하고 한글을 활용한 상품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는 한국어와 한글이 단순한 소통 수단을 넘어, 문화 교류와 미래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도록 하겠다는 분석으로 이어진다.
특히 주목할 점은 한글이 지닌 독창성과 인류 보편적 가치에 대한 재조명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한글이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명확히 알려진 세계 유일의 문자로, 세계 학계로부터 인류의 가장 빛나는 지적 성취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음을 강조했다. 또한, 세종대왕의 백성을 향한 사랑과 포용, 혁신의 정신이 담긴 훈민정음 머리글을 언급하며, 한글에 담긴 인류애가 유네스코의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시상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상기시켰다. 이는 한글이 단순히 우리 민족의 얼을 넘어, 인류 문명 발전에 기여하는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나아가,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주시경 선생과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목숨을 걸고 우리 말과 글을 지켜낸 역사를 기억해야 함을 강조하며, 한글이 민족 정신의 버팀목이 되었음을 분명히 했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오늘날 K-팝의 노랫말, 한국 드라마와 영화의 섬세하고 풍부한 표현력이 전 세계 팬들과 감동을 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분석은 타당성을 얻는다. 유튜브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우리 문화를 즐기려는 세계 청년들의 증가는 이러한 흐름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을 더욱 확장하기 위해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할 한국어 기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고, APEC을 통해 한글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이는 K-문화의 원천으로서 한글의 위상을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문화적·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며, 궁극적으로 한국어와 한글이 세계 문화의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가능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