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가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세계 87개국 세종학당에서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K-문화를 향유하고 있는 현실은, 한국어와 한글이 더 이상 우리만의 문자가 아님을 분명히 보여준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우리말과 글이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핵심 동력이 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김민석 국무총리는 한국어와 한글이 K-문화의 원천으로서 갖는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며, 이를 세계적으로 더욱 확산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김 총리는 한글날 경축사에서 한국어와 한글이 K-문화의 원천으로서 세계적으로 그 위상이 높아지고 있음을 언급하며, 이는 우리말과 글이 갖는 풍부한 표현력 덕분임을 강조했다. 케이팝의 노랫말을 통해 전 세계 팬들과 소통하고, 한국 드라마와 영화가 감동을 전하는 데 있어 한국어의 섬세함이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는 분석이다. 또한, 유튜브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우리 콘텐츠를 즐기려는 세계 젊은이들의 모습이 이제는 낯설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K-문화 확산의 동력을 더욱 강화하고, 한국어와 한글을 세계가 공유하는 언어이자 미래를 이끌어갈 핵심으로 만들기 위해 정부는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우선, 언론과 뉴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를 확산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우리말의 올바른 사용을 장려하고, 언어의 명확성과 표현력을 높여 K-콘텐츠의 이해도를 제고한다는 복안이다.
더 나아가,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 14만 명이 넘는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세종학당의 물리적, 교육적 확충은 한국어 학습 수요 증가에 부응하고, 한국 문화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한글을 활용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한글의 산업적 가치를 높이고 문화 수출의 새로운 동력을 발굴한다는 전략이다.
이와 더불어,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에 발맞춰 한국어 기반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는 계획도 포함되었다. 이는 한국어의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고, AI 시대의 언어 기술 발전과 한글의 글로벌 확산을 동시에 도모하려는 정부의 미래 지향적인 비전을 보여준다. 나아가, 최근 APEC 정상회의를 ‘초격차 K-APEC’으로 만들고자 하는 노력과 함께, 한글을 포함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준비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정책들은 한국어와 한글이 가진 고유한 가치를 세계와 공유하고, 문화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