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앞두고 은행을 찾은 시민들은 이전과는 확연히 달라진 이체 절차에 당황스러움을 느끼고 있다. 이는 최근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전 은행권이 공동으로 시행하는 강화된 문진 제도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은행 업무를 불편하게 만드는 것을 넘어, 고객의 소중한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금융권의 적극적인 대응 방안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은행 창구를 이용한 고액 인출 및 이체 거래 고객은 이제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홍보 동영상을 필수로 시청해야 하며, 최근 발생한 보이스피싱 사례에 대한 안내도 받게 된다. 이는 사기꾼들이 정부 기관을 사칭하여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비밀번호 등 민감한 정보를 요구하는 등 점점 더 지능화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다. 은행 직원은 이러한 절차가 다소 번거롭더라도 고객의 자산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임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이번에 시행된 강화된 문진 제도는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집약된 결과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는 신종 금융사기 유형 안내, 사기 유형별 예방 방법, 보이스피싱 피해 구제 방안 등 다양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이는 은행 방문 없이도 개인이 스스로 금융사기 위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추석 이후 명절 관련 정보(교통 범칙금, 명절 선물, 대출, 택배 등)를 사칭한 보이스피싱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러한 예방 활동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더욱이 금융권에서는 보이스피싱 제로(Zero) 캠페인 ‘그놈 목소리 3Go!’를 통해 ‘의심하고, 전화 끊고, 해당 기관에 확인하라’는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2025년 상반기(1~7월) 보이스피싱 및 문자 결제 사기 범죄 피해액이 7,992억 원에 달하며, 7월에는 월별 피해액 ‘역대 최대’인 1,345억 원을 기록했다는 통계는 금융사기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발신 번호 확인(1566-1188), 112 신고, 악성 앱 설치 시 경찰서 방문 등 구체적인 대응 체계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피해 확산을 막는 최소한의 방어선 역할을 한다.
금융감독원은 보이스피싱 예방 및 구제 관련 신규 제도 제안, 빅데이터 및 AI 활용 탐지 기법 모색 등을 위한 ‘보이스피싱 정책, 홍보 아이디어’ 공모전을 9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실시하며, 이는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보이스피싱 근절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결국, 이러한 금융권의 강화된 대응과 더불어 개개인의 각별한 주의와 정보 공유가 보이스피싱 피해를 최소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