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인 식량 안보와 농촌의 활력 상실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근본적인 문제점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농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가 지난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박람회는 농업이 단순한 생산 활동을 넘어 기술 혁신, 문화 콘텐츠, 그리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담는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박람회는 ‘농업과 삶’, ‘농업의 혁신’, ‘색깔 있는 농업’, ‘활기찬 농촌’이라는 네 가지 주제관으로 구성되어, 농업이 국민 생활과 깊숙이 연관되어 있음을 강조했다. ‘농업과 삶’ 주제관에서는 올해의 농산물인 감자의 다채로운 변신을 조명했다. ‘서홍’, ‘골든에그’와 같은 새로운 품종뿐만 아니라 감자로 만든 수제 맥주와 화장품까지 선보여, 감자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공익 직불제에 대한 설명과 꿀 등급제에 대한 소개는 농업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신뢰를 더하는 정책적 노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꿀 등급제는 국내산 천연 벌꿀을 8가지 항목으로 평가하고 QR코드와 유통관리 번호로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우리 쌀의 품종별 특징을 소개하며 소비자들이 쌀을 선택하는 안목을 넓히도록 유도했다. 강원도 오대산 쌀, 충남 삼광 쌀, 전남 새청무쌀 등 지역별 특성에 맞는 쌀의 용도를 설명하며, 소비자들에게 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었다.
‘농업의 혁신’관은 첨단 기술이 농업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지 보여주었다. 인공지능(AI) 기반의 선별 로봇은 상처 난 과일을 0.1초 만에 정확하게 골라내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사람이 17개의 불량 과일을 선별하는 동안 AI 로봇은 43개를 선별하는 놀라운 성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품종 개발을 위한 과실 특성 조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배의 당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직접 경험하며 농업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그린시스’ 품종의 배가 동양 배와 서양 배를 교배하여 육성되었고, 부드러운 식감과 높은 당도로 젊은 세대와 해외 시장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는 설명을 통해 품종 개발의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었다.
‘색깔 있는 농업’관에서는 K-푸드를 비롯한 도시 농업, 화훼 등 다채로운 농업의 모습을 제시하며 농업의 문화적 가치를 조명했다. 캔에 담긴 홍어와 같은 기발한 아이디어는 농업 분야의 창의적인 시도를 보여주었다. ‘활기찬 농촌’관은 농촌 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과 아이디어를 선보였다. 특히, ‘농촌 빈집은행’ 정책은 전국 7만 8천 95곳에 달하는 농어촌 빈집을 귀농·귀촌 희망자와 연결하고 기관이 관리와 운영을 돕는 방식으로, 폐허가 될 수 있었던 공간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혁신적인 방안으로 주목받았다. 이러한 정책들은 농촌이 더 이상 떠나는 곳이 아닌, 새로운 기회를 찾아 ‘돌아오는 곳’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박람회는 친환경 농산물 인증 마크의 중요성, 스마트 농업에 대한 기대감, 그리고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산업 연계 가능성 등 다양한 관점에서 농업의 밝은 미래를 제시했다. 또한, 유기농·무농약 마크 사용 장려와 친환경 농산물 구매 활성화 노력은 지속 가능한 농업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꿀 등급제와 같은 제도의 정착은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고 K-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농업이 기술, 문화, 사람을 아우르며 끊임없이 혁신하는 역동적인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었다. 국민들의 작은 관심들이 모여 대한민국 농업의 강력한 성장 동력이 될 것이며, 이는 식량 안보 강화와 농촌 지역 활성화라는 우리 사회의 오랜 과제를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