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년 가을, 가족들이 모여 풍성한 음식을 나누는 명절은 따뜻한 정을 느끼게 하는 소중한 시간이지만, 동시에 심각한 음식물 쓰레기 발생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다. 평소보다 훨씬 많은 양의 음식을 준비하면서 ‘먹을 만큼만 적당히 만들어 남김없이 먹자’는 집안의 암묵적인 규칙마저 깨지기 일쑤다. 차례상 등 명절에 준비되는 수많은 음식들은 결국 상당량이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지며, 이는 개인적인 부담을 넘어 사회적, 환경적 문제로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고질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 모색의 일환으로 한국환경공단은 추석 연휴 기간을 맞아 음식물 쓰레기 감량을 위한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행사를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진행한다. 이 캠페인은 추석 연휴 기간에 평소보다 급증하는 음식물 잔반을 의식적으로 줄이고, 낭비 없는 음식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환경 보호와 음식물 낭비 감소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번 행사는 특히 무선인식(RFID) 종량기 후불제를 사용하는 세대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행사 포스터의 큐알 코드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 인쇄 번호를 입력하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다. 참여 가구는 무선인식 음식물 쓰레기 관리시스템을 통해 10월 1일부터 14일까지의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분석받게 된다. 이후 평상시 배출량과 비교하여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이 감량된 세대 중 50세대를 추첨하여 10월 30일에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할 예정이다.
실제로 한국환경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하루에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약 1만 4천 톤에 달하며, 이는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7%를 차지하는 수치다. 더구나 음식물의 7분의 1이 쓰레기로 폐기되어 연간 20조 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통계는 명절 음식물 쓰레기 감량 캠페인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킨다.
RFID 배출기를 사용하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 자동 체크가 가능해지며, 배출된 무게만큼 수수료가 부과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서는 쓰레기 1kg당 63원의 배출 요금을 부과하는데, 이러한 종량제 방식은 자연스럽게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을 유도한다. 캠페인 참여자는 추석 연휴에도 불구하고 평소보다 배출량을 줄여 지불 수수료를 절감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과거 3년간 명절 연휴에 진행된 유사 캠페인에서 무선인식 종량제 사용 가정을 대상으로 6,200톤의 음식물 쓰레기를 감량하는 성과를 거둔 바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이번 추석 연휴에도 많은 가정이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에 동참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생활 속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노력도 강조된다. 장보기 전 구매 목록을 미리 작성하고 냉장고 재고를 확인하여 불필요한 충동구매를 줄이는 것이 첫걸음이다. 또한, 남은 음식은 볶음밥이나 샐러드와 같이 다양하게 재활용하여 쓰레기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사소해 보이는 습관들이 모이고 모이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추석 기간 이후에도 꾸준히 이어가야 할 중요한 실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