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선한 가을 바람이 불어오는 9월, 굽이진 길을 따라 철조망과 경비초소를 지나 도달한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휴전국’이라는 현실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푸른 하늘 아래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망원경 너머로 보이는 북한 개성의 일상은 분단의 아픔을 생생하게 전달하며, 통일 문제가 더 이상 먼 이야기가 아님을 절감하게 한다.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단순한 나들이 장소를 넘어, 분단의 현실과 통일의 가능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살아있는 현장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전망대의 1층과 2층은 분단 역사를 되돌아보고 현재를 짚으며 통일의 미래를 제시하는 전시로 채워져 있다. 특히 2층의 ‘그리운 내 고향’ 전시실에는 실향민들이 그린 북녘 고향 그림 5,000여 점이 전시되어 있어, 분단으로 인한 실향민들의 애틋한 마음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2층에서 3층으로 향하는 길목에는 DMZ 철조망을 피아노 현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통일의 피아노’가 분단의 상징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킨 모습을 보여준다. 전시실 곳곳에는 6.25 전쟁 자료와 남북 교류 관련 전시가 배치되어 있으며, 영상실에서는 통일 교육 다큐멘터리가 상영되어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는다.
야외 전망대에서는 불과 몇 킬로미터 떨어진 개성 시내와 북한 마을의 논밭, 건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날씨가 맑은 날에는 개성 시내와 개풍군 마을 일대의 주민 생활 모습까지 망원경으로 관찰 가능하다. 서울 도심에서 약 한 시간 남짓한 거리에 위치한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연간 약 100만 명의 국내외 관광객이 방문하는 인기 있는 안보 견학지로서, ‘가깝지만 먼 나라’인 북한을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분단의 현실과 통일의 염원을 담은 현장의 경험은 최근 발표된 2026년 통일부 예산안과 맞물려 더욱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지난해보다 약 20% 이상 증액된 1조 2,378억 원 규모의 예산안은 통일 정책이 먼 곳의 이야기가 아닌, 국민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남북협력기금이 1조 25억 원으로 확대되었으며, 인도적 지원, 경제 협력 사업, 문화 교류 및 국민 공감 프로젝트 등이 그 대상에 포함되었다.
이번 예산안에는 체험 사업, 민간 통일운동, 통일 문화 교육 등이 새롭게 포함되어 국민들이 통일 관련 정책을 ‘보고, 느끼는’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예산은 크게 인도적 문제 해결(약 6,810억 원), 경제협력 기반 조성, 사회문화 교류, 국민 공감 확대 등의 분야에 배분된다. 특히 국민 공감 사업은 오두산 통일전망대나 DMZ 탐방과 같은 현장 체험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정부 예산이 국민이 통일 문제를 ‘체험’할 기회를 넓히는 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오두산 통일전망대 이용객에게 DMZ 생생누리 방문 시 입장료 반액 할인을 제공하는 ‘DMZ 연계할인’ 또한 이러한 체험 기회를 넓히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망원경 너머로 보이는 북한의 풍경은 통일·안보 정책이 단순한 문서 속 숫자에 머물지 않고, 국민의 삶과 연결되는 ‘체감’으로 이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의 증액과 신규 사업들은 기대감을 높이지만, 중요한 것은 예산이 책상 위에서만 머무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예산의 집행 가능성, 남북 관계의 흐름, 주민과 민간단체의 참여, 지역 인프라 정비 등이 유기적으로 작동해야만 예산은 비로소 ‘체감되는 정책’으로 존재할 수 있다.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풍경처럼, 눈앞의 현실이 통일의 가능성을 상상하게 하는 공간들이 많아지고, 정부 예산이 그 공간들을 지원하는 든든한 힘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