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문화 향유 기회 축소로 지역민들의 아쉬움이 깊어지고 있었다. 특히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화 시설 접근성이 떨어지는 비수도권 지역 주민들은 더욱 그러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자 정부가 2차 공연·전시 할인권 사업을 시작했지만, 1차 사업에 비해 혜택의 범위와 내용이 더욱 강화되어 주목받고 있다.
이번 2차 할인권 사업은 단순히 전국 단위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비수도권 지역에 특화된 전용 할인권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수도권 집중 현상 속에서 소외되기 쉬운 비수도권 문화 소비를 진작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적 시도로 분석된다. 이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와 같은 일부 예매처에서만 발급 가능하다.
특히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전국 할인권보다 더욱 파격적인 혜택을 담고 있다. 공연 관람 시 1매당 15,000원, 전시 관람 시 1매당 5,000원을 할인받을 수 있으며, 공연과 전시 유형별로 각각 2매씩, 총 4매까지 제공된다. 이는 문화 향유 비용 부담을 크게 줄여, 그동안 경제적 이유로 문화생활을 망설였던 시민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할인권은 9월 25일부터 발행되기 시작했으며, 11월 27일까지 사용 가능하다. 다만, 1차 사업과 달리 이번에는 ‘매주 목요일’에 새롭게 재발행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발급받은 할인권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만 유효하므로, 사용 기한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미사용 할인권은 유효기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소멸된다.
이러한 할인권 정책은 실제 현장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예를 들어, 비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에서 열린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의 경우,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이 적용되어 정가보다 훨씬 저렴하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었다. 결제 시 자동으로 5,000원이 할인되는 방식 덕분에, 평소 전시 관람을 망설였던 시민들도 부담 없이 뱅크시의 작품 세계를 접할 수 있었다.
뱅크시 사진전은 그의 대표작들을 석판화 기법으로 구현하거나, 길거리 작품들을 사진으로 담아낸 제1전시관과 그의 상징적인 작품 <풍선을 든 소녀>를 전시한 제2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경매 현장에서 그림이 분쇄되는 퍼포먼스로 화제가 되었던 <풍선을 든 소녀>와 관련된 영상 자료는 당시의 생생한 분위기를 전달했다. 또한, 뱅크시의 사회 비판적 메시지와 그의 예술 철학을 엿볼 수 있는 작품들과 함께, 디즈멀랜드 프로젝트의 발자취를 보여주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었다.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권 사업은 비수도권 지역의 문화 소비를 활성화하고, 지역 예술 생태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수도권이 아닌 곳에서도 수준 높은 공연과 전시를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향유하며 서로 소통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