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페어몬트 엠베서더 호텔에서 열린 '제20회 임산부의 날 기념행사'에서 임산부와 남편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임신이라는 특수한 시기에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의약품 오남용 문제는 오랜 시간 동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었다. 임신 기간 중 발생하는 다양한 생리적 변화는 약물의 체내 흡수, 분포, 대사, 배설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약효와 안전성에도 예측하기 어려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함께 ‘임산부의 날’을 맞아 전문가용 ‘임부에 대한 의약품 적정사용 정보집’을 개정·발간하며 해결책을 제시했다.
이번에 개정된 정보집은 임신부와 가족이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현장의 의약 전문가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최신 의약품 허가사항과 진료지침을 망라한 실무 지침서로서, 임신 중 의약품 사용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집에는 임부의 약리학적 특성, 주요 질환 및 약물요법, 국내 의약품 허가사항 등 기본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감기, 입덧, 변비, 속쓰림 등 임신 중 흔하게 발생하는 증상에 대한 안전한 의약품 선택 방법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더불어 최근 관심이 높아진 비만 치료제 등 신규 의약품의 최신 안전정보와 고혈압, 심장병, 갑상선 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을 가진 여성이 임신을 계획할 때 필요한 의약품 조정 방안까지 폭넓게 담았다.
또한, 임신부에게 자주 사용되는 250개 약 성분에 대한 최신 안전성 정보를 상세히 수록하였으며, 성분별 효능·효과, 용법·용량, 임부 관련 주의사항 등을 표로 구성하여 의약품 사용 전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의약 전문가들이 환자 복약 상담 시 환자의 눈높이에 맞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임신 기간 중 약동학·약력학적 변화가 시기별로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각 임신 시기의 특성을 반영한 적절한 약물 선택과 투여 방법 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태아 위험도 역시 약물 성분, 투여 용량, 기간, 병용 여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투여 시기와 방법, 그리고 위해성과 이익의 균형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명시했다.
정보집은 이러한 상세한 정보를 바탕으로 임신 중 발생하는 질환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도 제시한다. 감기 치료 시에는 비임신 환자와 동일하게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습도 유지가 우선이며, 38℃ 이상의 고열이 지속될 경우 태아 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필요시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해열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다고 안내한다. 콧물·코막힘에는 세티리진, 클로르페니라민, 기침에는 덱스트로메토르판 성분 의약품을, 증상 완화를 위해 휴식과 수면을 우선 권장하며 필요 시 아세트아미노펜은 하루 4000mg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한다.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는 임신 20~30주에는 최소량·최단기간 사용하고, 30주 이후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변비 증상 개선을 위해서는 수분 섭취와 생활 습관 개선이 우선이며, 지속될 경우 락툴로즈 또는 차전자피 성분 의약품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체중 관리가 중요하지만, 태아 저성장을 유발할 수 있는 과도한 다이어트는 지양해야 하며, 특히 토피라메이트 등 일부 성분이 태아 기형 유발과 관련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성분이 포함된 다이어트 보조제는 권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번 정보집 개정·발간은 임신 중 약물 사용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임부와 태아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 사용을 지원함으로써, 임신 관련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식약처는 임신 중 의약품 사용은 반드시 의사·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하며, 모체와 태아에게 기대되는 유익성과 위해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함을 재차 강조했다. 앞으로도 식약처는 임신한 여성과 태아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실질적인 안전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국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