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각지의 우수한 기초 공연예술 작품들이 서울이라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정작 다른 지역 주민들은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는 문제가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다. 무용, 뮤지컬, 연극, 음악, 전통 등 다양한 분야의 공연예술 생태계가 수도권에 편중되면서 지방 공연단체와 공연장의 자생력 약화는 물론, 지역민의 문화 접근성 부족이라는 근본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었다. 이러한 ‘지역 공연예술 생태계의 고립’이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2026년 공연예술 지역유통 지원사업’을 대대적으로 개편하고 나섰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서울 외 지역의 공연단체와 공연장의 실질적인 성장을 지원하는 데 있다. 문체부는 예술경영지원센터와 함께 내달 25일까지 참여할 공연단체와 공연시설(서울시 제외)을 공모한다고 밝혔는데, 이는 그동안 전국에 유통되기 어려웠던 기초예술 공연이 더 많은 지역에서 관객과 만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이다. 공연예술 지역유통 지원사업은 다양한 기초예술 공연이 전국에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공공 공연장과 민간 공연예술작품 간의 연결을 적극 지원한다. 실제 올해 이 사업을 통해 전국 177개 공연시설에서 223개 작품(203개 공연단체)을 지원했으며, 지난 8월 기준으로 134개 지역에서 714회의 공연이 열려 14만 명이 관람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특히 내년 사업은 지원 방식의 혁신을 통해 ‘지역 공연예술 생태계의 고립’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기존의 사업 공모 구조를 대폭 개편하여 참여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절차를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공연단체와 공연시설 모두 균형 있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신청 과정에 양측의 수요를 동시에 반영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했다. 공연단체와 공연시설이 신청 요건을 충족하면 별도의 심의 과정 없이 단체, 작품, 시설별 기준에 따라 총예산 범위 내에서 상호 선택한 공연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문체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는 단체·작품·시설의 자격 요건을 검토하고 예산을 지원하는 관리와 지원 역할을 맡으며, 실제 사업 운영은 공연시설과 공연단체 간의 공연 계약 체결을 통해 협의·운영된다.
또한, 신청 방식 역시 큰 변화를 맞았다. 기존 ‘이(e)나라도움’ 시스템에서 벗어나,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새롭게 개발한 공연예술 전용 기업 간 플랫폼인 ‘공연예술유통 파트너(P:art:ner)’를 통해 신청을 받는다. 이 플랫폼은 공연단체와 공연장이 정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소규모 공연장이나 인지도가 부족한 신생 예술단체도 자신의 단체·작품·시설 정보를 적극적으로 알려 교섭 기회를 넓힐 수 있도록 돕는다. 더불어 올해는 구분해서 공모했던 ‘유형1 사전매칭’과 ‘유형2 사후매칭’을 내년에는 통합 공모하여 절차를 더욱 간소화하고, 예산이 남을 경우 추가 공모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러한 혁신적인 개편을 통해 공연예술 지역유통 지원사업은 공연단체의 자생력을 높이고 지역민의 문화 향유를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체부 신은향 예술정책관은 “이번 사업 공모 구조를 효율적이고 투명하게 개편해 더욱 많은 예술인과 국민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하며, 우수한 기초예술 작품이 지역에서도 활발하게 공연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지역 공연예술 생태계의 ‘고립’을 해소하는 데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