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 연휴는 전통적으로 의료기관 이용이 어렵고 응급상황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기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119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소방청은 지난 추석 연휴 동안 전국 119구급상황관리센터를 중심으로 비상근무체계를 가동하며 빈틈없는 구급상황관리 체계를 유지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연휴 기간 동안 예기치 못한 위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의료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구체적으로, 소방청은 연휴 기간 동안 전국 20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간호사와 1급 응급구조사 등 전문상담 인력을 204명, 이는 전체의 60.4%에 해당하는 규모로 보강했다. 또한, 수보대(상담 전화를 받는 자리) 역시 하루 평균 29대(34.5%) 증설하여 늘어나는 상담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단순히 전화 상담을 넘어, 의료기관 병상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병원을 선정하는 중추적인 조정 역할을 수행했다. 더불어 질병 상담 및 응급처치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여 의료기관 이송이 불필요한 비응급환자에게는 집에서 시행할 수 있는 응급대처 방법을 안내함으로써 불필요한 의료기관 방문을 줄이고 적절한 초기 대응을 돕는 데 기여했다.
추석 연휴 동안 119 상담 건수는 총 5만 6151건으로, 일평균 8022건에 달했으며 이는 평시(4616건) 대비 73.8% 증가한 수치다. 가장 상담이 많았던 날은 추석 당일인 6일이었으며, 상담 항목별로는 병의원 안내가 59.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질병 상담 16.5%, 응급처치 지도 13.2%, 약국 안내 4.1%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휴 기간 동안 의료기관 접근성이 낮아짐에 따라 119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상담 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의존도가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의 당직 현황 및 병상 정보를 구급대에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중증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한 이송 병원 선정과 연계 대응에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했다. 이러한 긴밀한 협력 체계는 20개 구급상황관리센터와 현장 구급대 간의 유기적인 협조를 원활하게 하여 생명이 위급한 중증응급환자의 소생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실제로 경북에서는 진료 가능한 병원을 찾지 못한 소아 환자 두 명을 서울·경기 지역 병원으로 소방헬기를 이용해 긴급 이송했으며, 충북과 전북에서는 조산 위험이 있는 임신부 이송 및 구급차 내 출산을 지원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지켰다. 또한 전남 흑산도에서는 뇌혈관 질환 의심 환자를 해경과 협력하여 육지 병원으로 이송, 골든타임 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소방청은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 상태에 따라 119구급대 또는 119구급상황관리센터가 병원을 선정할 수 있도록 병원 선정 주체를 명확히 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다. 이는 현장 구급대원의 신속한 병원 이송을 지원하고, 의료기관은 환자를 우선 수용하여 응급처치 후 필요에 따라 다른 병원으로 이송하는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급이송체계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많은 의료기관이 문을 닫은 긴 연휴 기간에도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협력으로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고 말하며, “불안을 줄이고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이송체계 고도화와 관련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