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정부 조직의 데이터 관리 및 보고 방식이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의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파편화된 데이터와 1페이지 보고서, ‘음슴체’로 대표되는 비정형적 보고 문화가 AI의 학습 능력을 저해하고 조직 내 맥락 공유를 어렵게 만들어, 결국 AI 지능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대한민국 정부의 데이터는 D 드라이브와 같이 휘발성 강한 저장 공간에 파편화되어 관리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담당자가 부재할 경우 데이터 접근이 어려워지고, 시스템 포맷 시에는 맥락, 암묵지, 과정 등 중요한 정보들이 함께 소실될 위험이 있다. 이는 향후 공무원들이 사용하게 될 AI가 제대로 학습하고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약화시키는 근본적인 문제로 지적된다. AI는 무수히 많은 데이터를 학습하여 잠재된 패턴을 찾아내는 존재인데, 데이터 자체가 부족하거나 파편화되어 있다면 ‘과적합’의 함정에 빠지기 쉬워져 AI의 지능은 정체될 수밖에 없다.
또한, 높은 사람에게 올라가는 보고서가 점차 짧아지는 경향 속에서 1페이지 보고서와 ‘음슴체’ 서술 방식이 만연한 것도 문제로 꼽힌다. 연차가 높은 공무원일수록 1페이지 보고서를 능숙하게 작성하는 것을 자랑으로 여기며, 자간과 장평까지 귀신같이 다루는 기술이 중시되기도 한다. 문장은 모두 개조식, ‘음슴체’로 작성되어 마치 판매 도구처럼 기능한다는 비판이 있다. 이는 실리콘밸리의 아마존과 같은 선진 기업들이 채택하고 있는 ‘6 페이저(6 Pager)’ 방식과 대조된다. 아마존은 모든 구성원이 6페이지 분량의 메모를 작성하여 공유하고, 회의 시작 30분간 이를 모두 함께 읽으며 토론하는 문화를 정착시켰다. ‘6 페이저’는 도입부, 목표, 원칙, 사업 현황, 교훈, 전략적 우선순위, 부록으로 구성되어 길을 잃지 않고 핵심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는 파워포인트의 불릿 포인트 뒤에 엉성한 사고를 숨기기 쉽다고 지적하며, 서술 구조를 가진 완전한 문장으로 작성된 메모가 더 나은 사고와 중요한 것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강제한다고 강조했다.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공무원들이 사용하는 ‘음슴체’ 역시 엉성한 사고를 숨기기 용이하며, AI 학습 및 맥락 공유 측면에서 서술체에 비해 백만 배나 뒤처진다는 분석이다.
실리콘밸리에서는 클라우드 기반의 위키 엔진을 활용한 게시판을 중심으로 협업이 이루어진다. 재무 및 인사 부서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서 게시판이 공개로 운영되며, 이는 모든 참가자가 맥락을 이해하고 관련 자료를 쉽게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즉, 문장(text)이 아닌 문맥(context)을 기본으로 공유하는 것이다. 이렇게 클라우드와 공개 게시판을 통해 쌓이는 데이터와 검토 자료들은 AI에게는 더없이 귀중한 학습 자료가 된다. 파편화된 문장만 넘겨받는 조직과 모든 맥락과 참고 자료를 공유하는 조직 간의 AI 지능 격차는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보고서 작성 시에는 1페이지 요약에 집착하기보다 전체 소요 시간과 업무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 잉크젯 프린터를 싸다고 덜컥 샀다가 잉크값으로 돈이 줄줄 새는 것처럼, 1페이지 보고서는 겉으로는 싸 보이지만 결과적으로는 비싼 ‘싸구려 잉크젯’과 같다는 비유가 제시된다. 중요한 결정이 필요한 보고서는 반드시 서술체로 작성하여 엉성한 사고를 숨길 수 없도록 하고, AI 학습과 맥락 공유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무원들은 훨씬 더 뛰어난 인공지능을 사용할 자격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관리와 보고 방식의 근본적인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