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좌이체라는 편리한 송금 방식이 보편화되었지만, 때로는 숫자 이상의 감동과 진심을 전하고 싶은 순간들이 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하거나 금융 접근성이 낮은 이들에게는 현금 전달의 어려움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우체국에서는 ‘우체국 현금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며, 단순한 금전 전달을 넘어 따뜻한 마음과 실질적인 편의를 동시에 충족시키고 있다.
지난 8년 전, 이재우 강원지방우정청 주무관은 주말부부 생활 중 겪었던 아찔한 경험을 통해 현금배달 서비스의 유용성을 몸소 체험했다. 월요일 아침, 남편이 차로 2시간 거리에 있는 직장으로 향하던 중 지갑을 두고 간 사실을 알게 되었다. 되돌아오거나 택배로 보내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랐다. 당시에는 스마트폰 결제 앱 사용이 보편화되지 않아 지갑 없이는 생활이 막막한 상황이었다. 이 주무관은 돈이 없어 곤란을 겪을 남편의 모습을 상상하며, ‘우체국 현금배달 서비스’를 떠올렸다. 비록 수령인 본인 확인 절차가 필요한 서비스이지만, 집배원에게 직접 보내는 것이기에 신분증 없이도 현금을 전달받을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이다. 그는 우체국 앱에 접속하여 10만 원을 보내며 “긴급상황 발생. 신랑이 지갑을 두고 갔어요. 살려주세요”라는 메모를 남겼다. 이 메모는 당시 금융 창구에서 업무를 담당하던 지인에게 유머를 선사했으며, 현금과 메모를 전달받은 남편은 안도와 함께 감사의 전화를 걸어왔다. 이 사례는 단순한 현금 전달을 넘어, 예상치 못한 위기 상황에서 해결책을 제시하는 ‘우체국 현금배달 서비스’의 실질적인 역할을 보여준다.
‘우체국 현금배달 서비스’는 신청인이 지정한 수신자에게 우체국 집배원이 직접 현금을 전달하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단순히 계좌이체로는 채우기 어려운 ‘마음’을 전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된다. 대표적인 예로, 경조사에 참석하지 못해 미안한 마음을 전하고 싶을 때, 경조금과 경조 카드를 함께 현금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증서배달’ 대신 ‘현금배달’을 선택함으로써, 참석하지 못한 아쉬움과 더불어 마음을 담은 금전까지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금융 접근성이 낮은 이들에게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은행 방문이 어려운 고령자나 은행 점포가 드문 시외지역에 거주하는 부모님께 매월 용돈을 ‘현금’으로 보내드리는 ‘부모님 용돈 배달서비스’는 2018년부터 시행되어 편리성을 더했다. 한 번의 약정으로 매월 지정된 날짜에 지정된 수신자에게 현금을 배달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현금배달 서비스’가 복지 정책에도 기여하며 그 역할을 확장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지난 3월 12일, 경남 4개 지역(산청·함양·거창·합천군)의 지방자치단체가 지급하는 지원금을 ‘현금배달 서비스’를 통해 전달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금융기관이 멀어 계좌이체된 지원금을 수령하기 어렵거나,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및 장애인 등 금융 소외 계층의 불편을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다가오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계좌이체 대신 ‘우체국 현금배달 서비스’를 통해 부모님께 직접 손으로 받아볼 수 있는 현금 용돈을 전달하는 것은 어떨까. 숫자만 찍혀 있는 통장 잔고보다, 손으로 직접 받은 용돈은 특별한 감동과 함께 더욱 깊은 정서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우체국 현금배달 서비스’는 이처럼 마음을 전하고 편리함을 더하는 든든한 동반자로서 그 가치를 증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