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사회에서 치매는 더 이상 먼 미래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가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치매는 개인의 기억력을 앗아갈 뿐만 아니라, 가족의 일상을 송두리째 흔드는 무거운 짐이 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치매 환자는 약 100만 명에 달하며, 2030년에는 15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치매국가책임제”를 통해 치매로 인한 사회적 부담을 줄이고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어머니가 집을 나갔다가 길을 잃으신 게 벌써 세 번째입니다. 한밤중에도 주무시다가도 나가십니다.” 서울 동작구 치매안심센터에서 만난 한 60대 여성의 절규는 치매 환자와 그 가족이 겪는 고통을 여실히 보여준다. 치매는 개인의 기억뿐만 아니라 돌봄을 제공하는 가족에게도 엄청난 정신적, 육체적 부담을 안겨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치매 치료비 부담 경감, 돌봄 서비스 확충, 예방 교육 및 프로그램 확대라는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전국 256곳에 설치된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환자와 가족들이 가장 먼저 의지할 수 있는 ‘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무료 검진, 인지 재활, 가족 상담, 환자 돌봄 지원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부터 맞춤형 사례 관리 모델이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생활 방식, 가족 구조, 소득 수준에 따른 세밀한 관리가 가능해졌다. 또한, 센터 내 ‘쉼터’ 운영 대상이 확대되어 보호자들이 돌봄 부담에서 잠시나마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는 24시간 돌봄의 고통을 호소하는 가족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오늘건강’ 앱 역시 치매 예방 및 관리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이 앱은 약 복용 알림, 인지 퀴즈, 두뇌 훈련, 걸음 수 및 수면 패턴 기록 기능을 제공하며, 필요시 치매안심센터와 데이터 연동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고령층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기억을 지킨다’는 목표와 맞물려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과거에는 치매라는 단어조차 꺼내기 어려웠지만, 이제는 사회 전체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려 한다는 사실 자체가 치매 환자와 가족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과 사회적 관심이 결합될 때, 치매는 더 이상 개인과 가족만의 고립된 싸움이 아닌, 함께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질환이 될 것이다.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 대상 확대, 장애인을 위한 설문형 평가 도구 도입 등은 더 많은 국민이 혜택을 누리도록 하는 긍정적인 조치다. 물론 재정 여력이 부족한 농어촌 지역의 서비스 접근성 문제, 돌봄 인력 부족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 하지만 ‘치매국가책임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가며, “치매와도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매년 9월 21일 ‘치매극복의 날’은 국민 모두가 치매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서로의 손을 맞잡는 계기가 될 것이다. 기억을 지키는 일은 곧 인간다운 삶을 지키는 일이며, 이는 치매 예방과 관리에 대한 사회적 투자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메시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