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무원으로서 7년간의 경험을 통해, 주민들이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돕는 ‘다리’의 역할을 되새기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최근 국가공무원 공채 시험 현장에서 본 응시생들의 진지한 모습은, 7년 전 합격만을 바라보며 어두운 터널을 헤매던 자신의 모습을 떠올리게 했다. 당시에는 합격하면 어떤 어려움도 웃으며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믿었지만, 실제 민원 업무를 처리하면서 그 다짐이 얼마나 지키기 어려운 말이었는지 뒤늦게 깨달았다는 것이다.
김윤서 충주시 주덕읍 행정복지센터 주무관은 최근 민원 업무를 수행하며 겪었던 일들을 통해 공무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감을 다시금 깊이 성찰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최근 실시된 국가공무원 공채 시험 현장을 지켜보며, 7년 전 공무원 시험 준비생이었던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보았다. 당시 그는 합격만을 바라보며 집과 독서실만을 오가는 힘든 시간을 보냈고, 합격하면 어떤 민원에도 친절하게 응대할 수 있을 것이라 다짐했다. 그러나 7년 후, 실제 민원 업무를 처리하면서 그 다짐이 얼마나 이상적이었는지, 그리고 현실은 얼마나 다른지 절감하게 되었다.
이러한 성찰은 단순히 개인적인 감상에 머무르지 않았다. 동료 공무원들과의 대화를 통해, 신규 공무원 시절 누구나 처음에는 같은 마음으로 공직에 발을 들여놓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읍행정복지센터에서의 일상은 분주했고, 수많은 민원인들과 스치듯 만나는 동안, 때로는 아기의 출생신고를 받으며 훈훈함을 느끼고, 때로는 사망신고를 받으며 슬픔을 함께 나누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들은 그에게 깊은 책임감을 느끼게 했고, 자신이 건넨 한마디가 누군가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믿음으로 업무에 임하게 했다.
특히, 최근 발생한 산불 상황에서 공무원의 역할이 더욱 명확해졌다. 산불 예방을 위해 주민들에게 홍보지를 나누어 주고,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성금 접수를 도우면서, 지역사회가 서로 돕고 보듬는 공동체임을 다시 한번 느꼈다.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김 주무관은 공무원이란 단순히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존재가 아니라, 주민들이 서로 상생하며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다리’와 같은 존재임을 확신하게 되었다.
이제 그는 과거처럼 벽을 더듬으며 한 걸음씩 나아가는 방식이 아닌, 분명한 목적지를 향해 빠르게 나아가며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튼튼한 ‘돌다리’가 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의 경험은 많은 공무원들에게 처음 공직에 발을 들여놓았을 때의 초심을 되새기게 하고, 국민들을 위한 봉사자로서의 역할을 더욱 충실히 수행하도록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