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주요 행정정보시스템 운영에 차질이 빚어진 가운데, 정부는 ‘안전, 보안, 신뢰’라는 세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0월 16일 6시 기준으로 전체 324개 시스템이 복구되어 복구율 45.7%를 기록했으며, 1등급 시스템은 31개(77.5%), 2등급 시스템은 38개(55.9%)가 정상화됐다.
이번 화재는 국민 일상과 직결된 다양한 서비스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와 같이 본인 인증의 핵심 기능이나, 공무원의 외부 행정망 접속을 지원하는 정부원격근무서비스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1, 2등급 시스템들의 복구가 시급한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민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보훈서비스, 법령정보서비스 등 미복구된 289개 시스템을 우선적으로 10월 말까지 복구 완료하고, 법제교육 등 기타 76개 시스템은 11월 20일까지 서비스를 재개한다는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10월 16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2차 회의를 개최하여 이러한 복구 현황과 계획을 점검하고, 미복구 시스템 복구 일정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중대본은 대구센터로 이전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하여 업무 환경 분석을 거쳐 이전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복구 기간 중 발생할 수 있는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요 시스템을 중심으로 수기 접수·처리, 대체사이트 제공 등의 안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방침이다.
정부는 복구 과정 전반에 걸쳐 현장 인력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사이버 위협과 물리적·관리적 보안까지 입체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특히 화재 피해가 심각했던 7-1 전산실 등은 데이터 복구 후 신규 장비 도입을 통해 복구를 진행할 예정이며, 화재 및 분진의 영향이 적은 전산실은 중요도에 따라 신속히 복구하되, 필요시 백업 또는 옛 시스템을 활용하는 등 시스템별 여건에 맞는 조속한 복구 방안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또한, 신규 장비 도입 시에는 장비 하중을 고려한 배치와 더불어, 고온 화재에 따른 건물 안전성 영향 분석을 위해 국정자원 대전센터 건물 구조 진단을 실시하여 복구 과정에서의 안전 원칙 이행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한 불편 민원 처리 상황도 점검됐다. 화재 발생 다음 날인 9월 30일 2,700여 건에 달했던 장애 관련 콜센터 상담 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현재 일일 300건 내외로 접수되고 있다. 주요 상담 내용은 시스템 장애로 인한 생활 불편, 대체 시스템 신청 방법, 기한 연장 등이다. 각 기관은 대체 시스템과 서비스를 적극 마련하여 국민과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정감사 지적사항을 무겁고 겸허한 마음으로 받아들여 정보시스템 관리체계를 쇄신하는 기회로 삼겠다”며, “복구 일정 내 서비스 재개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국정자원 대전센터 건물 구조 진단 실시 등 안전한 복구도 병행하여 온전한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