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 발생한 화재로 인해 정부 주요 정보 시스템 운영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13일 6시 기준으로 전체 260개 시스템, 즉 36.7%가 복구되었으나, 1등급 시스템 30개(75%)와 2등급 시스템 35개(51.5%)의 복구 또한 진행 중인 상황이다. 이는 국민 생활과 공공 기관 운영에 필수적인 서비스들이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화재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국가 핵심 정보 인프라의 취약성이 드러났다는 점이다. 대규모 화재로 인해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면서 국민들의 온라인 쇼핑 편의는 물론, 사회 서비스 이용까지 제한되는 등 실질적인 불편이 야기되었다. 특히 1등급 시스템인 우편정보 ePOST 쇼핑과 차세대종합쇼핑몰(나라장터 쇼핑몰)의 복구가 늦어지면서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물품 검색·구매 기능이 마비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또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의 복구 지연은 전자바우처 결제, 지방자치단체의 예탁금 납부, 이용자의 본인부담금 납부 등 민감한 금융 거래 서비스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안전부는 13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1차 회의를 개최하고 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 및 복구 방안을 집중 점검했다. 중대본은 대국민 주요 서비스와 업무 등급을 우선순위로 삼아 최단기간 내에 서비스를 재개할 수 있는 복구 방식을 마련하고 이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화재 및 분진 피해가 심각한 7-1 전산실 등의 시스템은 데이터 복구 후 대전 또는 대구센터에 신규 장비를 도입하여 복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화재·분진 영향이 적은 전산실은 중요도에 따라 신속히 복구하되, 7-1 전산실과 관련된 시스템은 백업 또는 옛 시스템을 활용하는 등 시스템별 여건에 맞는 복구 방안을 수립·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기존 700여 명의 복구 인력에 더해 제조사 복구 인원까지 투입하며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한 민원 처리 상황 또한 점검 대상에 올랐다. 화재 다음날인 9월 30일 2700여 건에 달했던 장애 관련 콜센터 상담 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현재 일일 300건 내외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시스템 장애에 따른 생활 불편, 대체 시스템 신청 방법, 기한 연장 등 국민들의 불편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각 기관은 대체 시스템과 서비스를 적극 마련하여 이러한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윤호중 장관은 “중요 서비스부터 신속히 정상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연일 밤낮으로 복구에 매달리고 있는 직원들의 근무 환경을 세심하게 챙기겠다”고 밝혔다. 이번 복구 작업의 성공적인 마무리와 함께 향후 유사한 재난 발생 시 정보 인프라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