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다채로운 음악극의 향연이 국립극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9월 3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되는 ‘창극 중심 세계 음악극 축제’는 한국 창극을 중심으로 동시대 음악극의 흐름을 조망하려는 국립극장의 야심 찬 첫걸음이다. 하지만 이러한 축제의 개최 배경에는 한국 고유의 음악극인 창극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깊은 고민과 더불어, 세계 무대에서의 경쟁력 확보라는 과제가 놓여 있다.
창극은 1900년대 초 판소리를 바탕으로 형성되어 오늘날까지 발전해 온 한국 고유의 음악극이다. 판소리의 주요 요소를 계승하면서도 여러 배우가 배역을 나누어 연극적 형태로 연행하는 다인극이라는 점에서 1인극 중심의 판소리와는 차별성을 지닌다.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축제가 열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립극장이 ‘세계 음악극 축제’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이 축제를 개최하는 것은 창극을 세계적인 브랜드로 육성하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올해로 제1회를 맞는 이 축제는 ‘동아시아 포커싱(Focusing on the East)’이라는 주제 아래,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3국의 전통 음악 기반 음악극 총 9편을 선보이며 동아시아 음악극의 현재를 탐구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 축제의 개막작으로는 국립창극단의 신작 <심청>이 올랐다. ‘올해의 연출가’로 선정된 요나 김 연출가가 극본과 연출을 맡은 <심청>은 기존의 ‘심청가’가 가진 효녀 심청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로 심청을 재해석했다. 이는 전통 판소리의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시각으로 창극을 재해석하려는 국립극장과 국립창극단의 노력을 보여준다. 축제는 4주간 해외 초청작 3편, 국내 초청작 2편, 국립극장 제작 공연 4편 등 총 9개 작품 23회 공연으로 꾸며졌다. 특히 홍콩에서 온 월극 <죽림애전기>와 조선 말 여성의 삶을 담은 <정수정전> 등은 동아시아 음악극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세계 음악극 축제>는 단순히 작품을 소개하는 것을 넘어, 문화 교류의 장으로서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중국인 유학생 호곤 씨는 <죽림애전기>를 관람하며 한국 문화정책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높이 평가했으며, 한국 문화 콘텐츠 제작자들의 세계화된 시각과 문화 수출 의식에 감탄했다. 그는 특히 한중 문화 교류에 대한 깊은 관심을 드러내며 향후 관련 사업 참여 의사를 밝혔다. 이러한 관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소통은 <세계 음악극 축제>가 단순한 공연 행사를 넘어,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축제의 성공적인 개최는 국립극장이 창극을 중심으로 세계 음악극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나아가 동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를 아우르는 글로벌 음악극 축제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동아시아 포커싱’이라는 첫 번째 주제에 이어, 앞으로 어떤 주제로 축제가 발전해 나갈지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국립극장은 앞으로도 다양한 해외 작품 초청과 국내외 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전 세계 다채로운 음악극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국제적인 축제로 발돋움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