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극장이 9월 3일부터 28일까지 ‘동아시아 포커싱(Focusing on the East)’을 주제로 제1회 <창극 중심 세계 음악극 축제>를 개최하며 동아시아 음악극의 현재를 조망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축제는 한국의 창극을 중심으로 중국의 월극, 일본의 노극 등 전통 음악 기반의 음악극 9개 작품을 선보이며, 이는 창극의 발전과 함께 국제 문화 교류를 촉진하려는 국립극장의 노력을 보여준다.
이 축제가 열리게 된 배경에는 한국 고유의 음악극인 창극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을 높이고, 동시대 음악극의 흐름을 파악하려는 시도가 자리하고 있다. 창극은 판소리를 바탕으로 하되 여러 배우가 배역을 나누어 연행하는 연극적 형태의 음악극으로, 1900년대 초 형성되어 꾸준히 발전해 왔다. 이번 <세계 음악극 축제>는 국립창극단을 주축으로, 총 4주간 해외 초청작 3편, 국내 초청작 2편, 국립극장 제작 공연 4편 등 총 9개 작품으로 23회의 공연을 펼친다. 이는 우리나라 창극의 위상을 높이고, 나아가 세계적인 축제로 발돋움하려는 국립극장의 야심을 드러낸다.
축제의 개막작으로는 국립극장 제작 공연인 국립창극단의 신작 <심청>이 무대에 올랐다. 이 작품은 효녀 심청의 고전적인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되, 2017년 ‘올해의 연출가’로 선정된 요나 김 연출가가 억압받았던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로 재해석했다. 전통 판소리의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시선으로 심청을 그려내며, 관람객들에게 신선한 감동을 선사했다. 또한, 9월 13일에는 해외 초청작으로 중국 월극 <죽림애전기>와 국내 초청작 <정수정전>이 각각 달오름극장과 하늘극장에서 연이어 공연되었다.
<죽림애전기>는 홍콩에서 온 단체 관광객들이 관람할 정도로 해외에서도 주목받는 작품이다. 위나라 말기에서 진나라 초기, 도가 철학과 은둔의 미학을 좇는 ‘죽림칠현’ 후손들의 삶을 그린 월극으로, 2023년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서 호평받은 바 있다. 가면을 쓴 배우들이 노래, 춤, 연기에 무술까지 더해 선보이는 이 공연은 현대적인 음향, 조명, 영상 기술과의 결합으로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특히 이 작품을 관람하러 온 중국인 유학생 호곤 씨는 “가정과 국가라는 두 가지 측면을 아름답게 표현했으며, 문화적 원형과 현대 기술이 조화를 이루었다”고 평가하며, 한국 문화 정책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보여주는 훌륭한 행사라고 축제를 칭찬했다.
국내 초청작 <정수정전>은 조선 말, 자신의 이름으로 세상에 맞서 당당하게 살아내고자 남장을 하고 과거 시험을 본 여성 정수정의 서사를 판소리와 민요를 통해 풀어낸 작품이다. 유교 사상이 팽배했던 당시 여성으로서 겪는 고충에도 불구하고 홀로서기를 시도하는 정수정의 이야기는, 한 인간이 자신의 이름을 지키며 꿋꿋하게 살아가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작품은 배우가 작창과 창작에 참여하는 공동 창작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모든 것의 중심에 너를 두거라”는 대사를 통해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이번 <세계 음악극 축제>는 ‘동아시아 포커싱’이라는 첫 번째 주제를 통해 동아시아 3개국 전통 음악극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탐구했다. 향후 해외 작품 초청과 국공립 및 민간 단체의 협업을 통해 전 세계 다채로운 음악극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글로벌 축제로 확장될 예정이다. 축제 기간 동안 국립극장은 예매 관객들에게 ‘부루마블’ 판을 제공하고, 관람 횟수에 따라 다양한 혜택과 한정판 굿즈를 증정하는 등 관객 참여를 높이기 위한 이벤트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세계 음악극 축제>는 한국 창극의 우수성을 알리고, 국제적인 문화 교류의 장으로서 그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