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상기후 현상은 대형 화재, 붕괴 사고 등 예측 불가능한 복합 재난의 발생 빈도를 높이며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시스템 전환을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정부가 과학기술 및 디지털 전환을 통한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를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소방청은 이러한 정책 기조에 발맞춰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지난 13일, 소방청은 급격히 심화하는 기후위기와 도래하는 인공지능(AI) 시대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존 자율기구였던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날로 복잡해지고 예측 불가능해지는 재난 양상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첨단 과학기술을 재난 안전 분야에 적극적으로 접목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 제시된다.
새롭게 개편된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소방 현장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개발 및 기획뿐만 아니라, 소방 정책 전반에 걸쳐 인공지능을 비롯한 다양한 과학기술을 활용하는 과제를 발굴하고 기술적인 지원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소방청은 단순히 기존의 재난 대응 방식을 넘어,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재난 대응 체계를 확립해 나갈 계획이다.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더욱 안전한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직 개편과 첨단 기술 활용 확대는 미래의 예측 불가능한 재난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국민의 안전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