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국 사회는 전례 없는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얼어붙은 경제 상황 속에서 자영업자들은 하루하루 생존을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으며, 글로벌 경기 침체, 예측 불가능한 전쟁, 지정학적 불안정, 고물가, 고금리, 청년 실업,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 등 우리 노력만으로는 극복하기 벅찬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은 국민 정신건강의 위기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 발표된 자살률 통계는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의 마음을 무겁게 짓누르고 있다.
학생들은 입시와 취업 준비에 지쳐 미래에 대한 확신을 잃은 지 오래이며, 어렵게 취업에 성공하더라도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쉽게 해소되지 않는다. 예측성이 떨어지는 사회는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이는 작은 자극에도 짜증과 분노를 폭발시키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노인들 역시 신체적 질병, 경제적 어려움, 정서적 외로움에 시달리며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들은 사회 전반에 걸쳐 끝이 보이지 않는 터널 속에 갇힌 듯한 답답함을 안겨주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희망’을 이야기하는 것조차 사치로 느끼게 만든다.
그러나 이러한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우리에게는 주목할 만한 저력이 숨겨져 있다. 대한민국은 K-pop, K-drama, K-food 등 문화 콘텐츠를 통해 세계인의 일상에 깊숙이 파고들었고, BTS, 블랙핑크, 영화 ‘기생충’, ‘오징어게임’ 등은 한국 문화를 세계 중심 무대로 이끌었다. 이는 오랜 시간 축적된 창의성, 끈기, 노력의 결실이며 단순한 유행을 넘어선 한국 문화의 힘을 보여준다. 경제적으로도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정보통신, 의료, 교육, 치안 등 여러 분야에서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 해외에서는 대한민국의 질서, 시민의식, 안전함에 놀라움을 표하며, 밤늦은 시간에도 안전하게 거리를 활보하고 카페에 개인 물품을 두고 자리를 비워도 되는 풍경은 다른 나라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특별함이다.
이처럼 물질적 풍요와 세계적인 위상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행복지수’가 낮다는 점은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시사한다. 너무 앞만 보고 달려온 결과, 우리는 정서적으로 더욱 불안하고 고립되었으며 쉽게 지쳐버리는 사회가 되었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경제 성장이나 기술 발전이 아니라, 삶의 가치를 회복하고 지나온 삶을 돌아보며 잠시 여유를 갖고 마음을 치유하는 일이다.
전쟁의 폐허 속에서 산업화를 이루고, 독재를 넘어 민주화를 성취하며, 궁핍 속에서도 자녀 교육을 포기하지 않았던 우리의 부모 세대는 끈기와 저력의 증거이다. 이는 단순한 운이 아닌, 우리 민족 속에 깊숙이 자리한 ‘희망의 유전자’ 덕분이다. 이제 우리는 어려운 현실 앞에서 주저앉을 것인지, 아니면 수많은 위기를 극복해 온 ‘희망의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것인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야 한다. 답은 분명하다. 우리는 할 수 있고 이미 수없이 해냈다. 우리가 맞서야 할 것은 외부의 위협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마음속에 품은 불안과 두려움, 그리고 부정적인 생각이다.
새 정부는 특정 지역이나 집단의 정부가 아닌, 우리 모두의 정부이자 대통령이어야 한다. 정부는 국민의 희생과 열정을 기억하고, 이러한 열정과 에너지가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민의 창의성, 근면성, 공동체 정신은 이 사회를 다시 한번 도약시킬 소중한 자산이다. 정부와 대통령은 국민을 믿고, 국민은 정부의 진정성과 방향성을 신뢰할 때 진정한 회복이 가능하다. 우리 마음속에 존재하는 ‘희망의 씨앗’이 자랄 수 있도록 토양을 만들고 햇살을 비추는 일이 지금 가장 필요한 시점이다.
앞으로도 난관은 존재하겠지만, 이제는 ‘혼자 버티는’ 시간이 아닌 ‘함께 걸어가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앞만 보며 달려온 길 위에서 잠시 멈춰 옆 사람을 살피고, 지쳐 있는 누군가를 일으켜 세우며, 나 또한 누군가의 손에 의지해 일어설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건강한 사회의 모습이다. 우리 속에 간직한 희망의 유전자는 오랜 고난과 좌절 속에서도 살아남았고, 지금 이 순간에도 뜨겁게 살아 숨 쉬고 있다. 이제는 그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