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해안에서 낚싯대를 드리우던 이들에게 갯벌은 단순히 불편한 땅이었다. 그러나 해양경찰청이 선보인 해양환경 온라인 교육 플랫폼 ‘하이 블루카본’은 이러한 인식을 완전히 바꾸고 있다. 갯벌이 지구 온난화 방지의 핵심 열쇠이자, 생명의 보고라는 사실을 디지털 콘텐츠로 생생하게 전달하며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그동안 갯벌은 낚시꾼들에게 걸림돌로 여겨지기 일쑤였다. 갯벌은 숲보다 50배 빠르게 탄소를 흡수하는 ‘숨은 영웅’이며, 지구 온난화를 막는 중요한 탄소 저장고라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더 나아가 갯벌은 철새들의 생명을 지켜주는 ‘생명의 뷔페’ 역할을 하는 귀중한 생태계임에도 불구하고, 그 가치는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한 ‘하이 블루카본’ 플랫폼은 해양경찰청이 민·관 협력을 통해 9월 2일 새롭게 선보인 야심찬 프로젝트다.
‘하이 블루카본’은 포스코이앤씨, 한국전력공사, 월드비전, 인천시·광양시·부안군 등 다양한 기관과 지자체가 참여하여 풍성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특히 스마트폰으로 QR 코드를 찍으면 화면에 고래가 나타나는 증강현실(AR) 체험은 집에서도 바다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탐험대장 노을이’와 ‘꼬마 해홍이’ 같은 AI 캐릭터는 염생식물의 역할과 블루카본의 중요성을 음성과 텍스트로 설명하며,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숲보다 50배 빠른 탄소 흡수율과 수백 년간 탄소를 저장하는 해양 생태계의 능력을 알게 되면서, 갯벌이 가진 놀라운 잠재력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갯벌이 철새들의 중요한 먹이터라는 사실은 갯벌의 생물 다양성 보존 가치를 다시 한번 일깨운다. 우리나라 서해안 갯벌이 세계 5대 갯벌에 속한다는 점은 국민적 자부심을 높이는 동시에, 이 소중한 자연유산을 지켜야 한다는 책임감을 부여한다. 퉁퉁마디, 해홍나물과 같은 염생식물들이 척박한 환경에서도 갯벌 생태계를 굳건히 지탱하는 ‘숨은 영웅’이라는 설명은 갯벌의 중요성을 더욱 실감 나게 한다. 플랫폼 내 ‘배움자료 살펴보기’ 메뉴에서는 염생식물 세밀화 엽서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교사들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안과 영상 자료도 제공된다.
‘하이 블루카본’의 또 다른 강점은 참여형 콘텐츠에 있다. ‘나도 해양환경 보전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직접 적어 남기는 환경 서약은 작은 실천이지만 해양 환경 보전에 대한 의미를 더한다. 비록 아직 온라인 체험 신청은 열리지 않았지만, 이는 향후 더욱 확대될 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를 높인다.
이 플랫폼이 특별한 이유는 단순히 온라인 콘텐츠 제공에 그치지 않고, 민·관 협력이라는 실질적인 현장 활동과의 연계에 있다. 해양경찰청은 인천시, 광양시, 부안군과 협력하고 포스코이앤씨, 한국전력공사, 월드비전 등과 손잡고 염생식물 파종 및 군락지 조성 같은 현장 복원 활동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서해안 일대 약 2만 평 부지에서 15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칠면초·퉁퉁마디 등 염생식물 100kg을 파종하는 블루카본 보호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러한 현장 활동과 온라인 교육의 조화는 해양환경 보전을 구호에 그치지 않는 실천 가능한 정책으로 만들고 있다. 이는 ‘탄소중립’과 ‘기후 안정’이라는 공동 목표를 향해 민·관이 함께 나아가는 진정한 의미를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하이 블루카본’은 바다와 갯벌이 지닌 엄청난 잠재력을 국민들에게 알리고, 일상 속 작은 실천으로 이어지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양환경 정책은 거창한 구호가 아닌, 국민 개개인의 생활과 습관에서 시작해야 한다. 해양은 탄소중립과 기후 안정을 위한 핵심 자원이므로, 이를 지키기 위해서는 정책적 노력과 더불어 국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이다. ‘하이 블루카본’은 바로 이러한 국민 참여의 첫걸음을 디지털 공간에서 열어주는 훌륭한 모델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