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한 달간 진행된 ‘동행축제’가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총 6634억 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단순히 소비를 진작시키는 것을 넘어, 소상공인들에게는 희망의 불씨를, 경제 전반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성과는 온·오프라인 판매전의 직접 매출뿐만 아니라, 온누리상품권과 지역사랑상품권의 대규모 판매로 이어져 경제 활성화 효과를 더욱 증폭시켰다.
이번 동행축제가 추진된 배경에는 내수 소비 위축과 소상공인들의 경영난이라는 근본적인 문제가 자리 잡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침체된 소비 심리를 회복시키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는 전국 단위의 소비 촉진 행사인 동행축제를 기획했다. 특히,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함께 전국적인 연계 행사 및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소비 분위기를 확산시키는 데 주력했다.
구체적인 해결책으로, 온라인 판매전에는 2만 7000여 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이라는 높은 매출 성과를 달성했다.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가 13배 이상의 매출 증가를 기록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도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과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각각 6400만 원,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상품 경쟁력을 입증했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 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늘려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라는 목표 달성에 집중했다. 제주 개막식은 1만 8000명이 방문하는 성황을 이루었고, 롯데백화점(잠실점)의 상생판매전에서는 50개 소상공인 업체가 참여하여 1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대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 마련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상생소비복권과 민간 기업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 또한 소비 활성화에 큰 역할을 했다. 1000만 명이 응모한 상생소비복권과 7개 TV홈쇼핑사의 상생 기획전, 7개 카드사의 캐시백 및 할인 혜택 강화는 소상공인과 전통 시장 이용을 촉진했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할인 쿠폰과 집중호우 피해 지역에 대한 추가 할인 쿠폰을 제공하며 소외된 지역 상권 회복에도 힘을 보탰다.
이러한 동행축제의 성공적인 결과는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매출 증진이라는 당초 목표를 초과 달성했음을 시사한다. 최원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언급하며, 앞으로 정부가 기존 할인 축제를 통합하여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개최할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으로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이번 동행축제의 성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내수 활성화 정책 추진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