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국적으로 진행된 ‘9월 동행축제’가 총 6634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이번 축제는 온·오프라인 판매전에서 6307억 원과 327억 원의 직접 매출을 올렸으며, 온누리상품권과 지역사랑상품권 7268억 원 판매를 견인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동행축제는 본래 내수 소비를 진작하고 소상공인의 매출을 증대시키기 위한 전국 단위의 소비 촉진 행사로 기획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긍 H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동행축제가 해결하고자 했던 근본적인 문제, 즉 소상공인의 지속적인 매출 증진과 내수 시장의 구조적인 활력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존재한다. 특히, 전국적인 연계 행사와 다양한 이벤트에도 불구하고, 일부 온라인 판매전에서 특정 상품들이 괄목할 만한 성장을 기록한 반면, 전체 참여 기업의 고른 성장을 담보하지는 못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예를 들어,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감자탕이 전년 동기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도나스가 13배 이상의 매출 증가를 기록하는 등 눈에 띄는 성과를 보였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도 반려동물 간식껌과 선크림이 각각 6400만 원,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선전했다. 이는 특정 온라인 플랫폼과 상품의 성공 사례를 보여주지만, 대다수 소상공인이 이러한 성과를 재현하기는 어려웠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지만, 행사 비중을 늘린 비수도권 및 인구감소 지역의 상권 활성화에 얼마나 실질적인 기여를 했는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제주 개막식 연계 판매전에서는 51개 업체가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고, 롯데백화점 상생판매전에서는 50개 업체가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구조 마련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상생소비복권과 민간 기업 주도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는 1000만 명의 응모를 기록하는 등 높은 관심도를 보였으나, 이 또한 이벤트 참여자에게 집중된 혜택으로 작용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7개 TV 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의 참여 역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지만, 이러한 지원이 일시적인 소비 촉진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내수 활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요구된다.
중소벤처기업부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기존 할인 축제를 통합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제공할 예정임을 밝혔다. 이러한 국가 단위의 대규모 할인 축제가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지 않고, 동행축제가 해결하지 못한 소상공인 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개선하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꼼꼼한 준비와 함께 실효성 있는 후속 조치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