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시대적 과제가 산적한 가운데, 정부는 청정 전력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며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가고 있다. 특히, 이번 기후에너지환경부의 태안석탄발전소 방문은 이러한 정책 추진의 구체적인 현황을 점검하고, 잠재적인 어려움에 대한 정부의 해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번 발표의 배경에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청정전력 전환이라는 거대한 목표와 더불어,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동 시장의 변화와 안전 문제라는 두 가지 중요한 ‘문제점’이 자리 잡고 있다. 석탄발전소의 단계적 폐지는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지만, 해당 발전소에서 근무하는 인력들의 일자리 상실이라는 사회적 부담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노후화된 발전 시설에서 발생하는 산업 재해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 태안석탄발전소 1호기의 폐지를 오는 12월로 예정하고, 이에 따른 인력 재배치 계획을 면밀히 수립했음을 밝혔다. 총 129명의 발전 인력 중 서부발전 본사 소속 65명은 구미 천연가스 발전소로, 협력업체 소속 64명은 태안 내 다른 석탄발전기로 재배치될 예정이다. 이는 일자리 상실 없는 정의로운 전환을 통해 노동자들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도록 지원하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또한, 지난 6월 2일 발생한 산업재해와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강력한 안전 강화 대책을 병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민주노총 및 한국노총과 각각 고용안정 협의체와 정의로운 전환 협의체를 구성하여 현장 안전 강화와 노동자 보호를 위한 다각적인 노사정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솔루션들이 성공적으로 적용될 경우, 우리는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목표를 달성함과 동시에 일자리 문제와 산업 안전이라는 두 가지 난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성환 장관의 발언처럼, 이번 태안석탄발전소 방문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녹색 대전환의 신호탄이자, 정의로운 전환을 통해 일자리를 지키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는 정책 추진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