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급증하는 해외여행 수요와 함께 인천국제공항을 찾는 이용객이 꾸준히 늘고 있으며, 다가오는 10월 연휴에는 역대 최대 규모의 이용객이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인천국제공항이 단순한 교통 허브를 넘어 ‘대한민국의 관문’으로서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러한 역할 확대는 공항 시설의 쾌적함과 편의성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적 매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항은 대한민국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공간으로서 더욱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인천국제공항은 단순한 출입국 절차 공간을 넘어, 한국의 전통문화와 현대적인 예술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콘텐츠를 통해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며 ‘문화 융성’이라는 정책적 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은 현재 총 2개의 터미널에 국내외 작가 14명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미와 공항의 특성을 담고 있어 방문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 특히 이종경, 박종빈, 최종원 작가의 ‘하늘을 걷다’와 같은 작품은 공항이라는 공간과 어우러져 여행객들에게 떠나고 싶은 설렘을 선사한다.
더불어, 인천국제공항은 정적인 전시 외에도 생동감 넘치는 전통 공연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매주 수요일부터 토요일까지는 오전 10시, 11시, 오후 1시에 전통 예술 공연이 펼쳐지며, 일요일부터 화요일까지는 오전 11시와 오후 2시에 왕가의 산책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왕가의 산책은 조선시대 궁중 생활을 재현한 것으로, 전통 복장을 갖춘 왕과 호위 군관들의 모습을 통해 방문객들에게 생생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또한, 최근 K-pop 패러디 영상으로 주목받은 ‘왕가 보이즈’, ‘공항 보이즈’와 같은 콘텐츠는 젊은 세대에게도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화 체험의 정점은 ‘한국전통문화센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과 2터미널에 총 네 곳에 마련된 이 센터는 탑승동 내부에 위치하여 출국객만이 이용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전통 공예품과 문화상품을 감상하고 구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복과 족두리 등 전통 의상을 직접 입어보는 체험도 가능하다. 특히 ‘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은 내외국인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최근 미국인 관광객은 전통 문양으로 매듭 장신구를 만들어 캐리어 네임택으로 활용하는 등 매우 만족스러운 경험을 했다는 후문이다. 비록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비행기 탑승 시간과의 여유가 필요하지만, 전통 팽이 만들기 등은 아이들에게 특별한 여행 추억을 선사한다. 동관과 서관에 각각 위치한 한국전통문화센터는 내부 전시와 공예품에 차이가 있어,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두 곳 모두 방문하는 것이 권장된다. 한 미국인 관광객은 공항에서 한국 전통문화를 만날 수 있어 반가웠다는 소감을 밝혔으며, 또 다른 방문객은 한국전통문화센터가 더 널리 알려져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인천국제공항에서 만난 한국전통문화센터는 여행과는 또 다른 즐거움을 선사하며, 다가오는 긴 추석 연휴와 같이 해외 출국길에 특별한 기억을 남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현대적인 즐거움과 더불어 우리의 멋을 담은 전통 공연, 전시, 체험이 기다리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