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고조된 한국 문학에 대한 관심이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를 통해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로 확산되고 있다. 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이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국내 유수의 문학 행사를 통합한 자리로, 서울을 넘어 전국 각지의 문학관, 도서관, 서점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동시에 진행되며 문학의 저변을 넓히고 있다.
특히 ‘2025 문학주간’은 ‘도움―닿기’라는 주제 아래, 문학이 우리 삶의 균열을 비추고 서로에게 닿을 수 있는 ‘작은 구름판’이 되기를 바라는 메시지를 담았다. 빠르게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잠시 멈추어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대어 함께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자는 취지다. 이 축제의 주제 스테이지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에서는 글쓰기에 필요한 태도에 대한 작가들의 진솔한 경험담이 공유되었다.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거나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는 말들은 글쓰기가 곧 자기 고백이자 용기임을 일깨웠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는 현실적인 충고로 다가왔다. 글을 쓰는 일이 결국 자신의 울타리를 넘어 다른 세계와 만나는 통로라는 점은,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읽는 독자에게도 깊은 울림을 주었다.
야외 프로그램 일부가 비로 인해 취소되는 아쉬움도 있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 같은 체험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에게 오래 기억될 즐거움을 선사했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성을 넘어, 전국 곳곳에서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문학을 즐길 수 있는 축제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현재 전국 각지에서는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은 물론 국내외 작가 초청 행사, 토크,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풍성한 문화 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필자가 거주하는 고양시에서는 ‘2025 고양독서대전’이 오는 10월 개최될 예정이며, 9월 독서의 달을 맞아 지역 도서관에서는 다양한 연계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캠페인 역시 이번 문학축제를 계기로 9월 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북토크,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결론적으로 문학은 단순히 책장에 머무르는 것을 넘어, 우리가 읽고 만나고 쓰며 함께 즐길 때 비로소 그 진정한 힘을 발휘한다. 이번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가 시민들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더 많이 참여하고,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