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우리 문학계가 마주한 높아진 대중적 관심을 어떻게 지속시키고, 문학이 지닌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실질적으로 확산시킬 것인가 하는 근본적인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는 자리로 기획되었다. 이번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기존의 국내 대표 문학 행사들을 하나의 통합된 플랫폼으로 아우르며, 전국 각지의 문학관, 도서관, 서점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동시에 진행되는 전국적인 규모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의 일환으로 개최된 ‘문학주간 2025’는 ‘도움―닿기’라는 주제를 내걸고, 문학이 우리 삶의 예상치 못한 균열을 비추고, 나아가 서로의 삶에 닿을 수 있는 작은 구름판이 되기를 희망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이는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 사회 속에서 잠시 멈추어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대어 함께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자는 취지로 해석된다. ‘문학주간 2025’의 주제 스테이지인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에서는 글쓰기에 대한 작가들의 진솔한 경험담이 공유되었다.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와 같은 작가들의 말은 글쓰기가 단순한 행위를 넘어 자기 고백이자 용기를 필요로 하는 과정임을 강조했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과도한 부담감을 덜어주는 실질적인 충고로 작용했으며, 글쓰기는 결국 자신의 울타리를 넘어 다른 세계와 만나는 통로라는 점이 깊은 울림을 주었다. 이러한 강연은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글을 읽는 독자들에게도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비록 야외 프로그램 일부가 날씨로 인해 취소되는 아쉬움도 있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 체험은 직접 찍어낸 주황색 고양이 그림 책갈피가 오래 기억에 남을 만큼 소중한 경험을 제공했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성을 넘어, 전국 곳곳에서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문학을 즐길 수 있는 생활 축제로서의 의미를 더하고 있다. 전국 각지의 도서관, 서점, 문학관에서는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국내외 작가 초청 행사, 토크,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풍성한 문화 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이는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캠페인과도 연계되어, 9월 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열리는 북토크,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확장될 예정이다.
결론적으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문학이 책장 속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읽고, 만나고, 쓰며 즐길 때 더욱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번 축제가 문학에 대한 시민들의 참여를 더욱 확대하고, 독서의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