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의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굽이진 길과 철조망, 경비초소를 지나 도착한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휴전국’이라는 현실을 다시금 상기시키는 곳이었다.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망원경으로 바라보는 북한 개성의 일상은 분단의 아픔과 통일의 필요성을 생생하게 전달하며, 이는 단순한 나들이를 넘어선 ‘안보 견학’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이러한 현장의 경험은 최근 발표된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의 의미를 더욱 깊이 이해하게 한다.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1층과 2층의 전시실을 통해 분단 역사를 되짚어보고 현재를 진단하며 통일의 미래를 제시한다. 특히 ‘그리운 내 고향’ 전시에서는 실향민들이 그린 5,000여 점의 그림을 통해 북녘 땅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느낄 수 있다. 3층으로 올라가는 길에 만나는 ‘통일의 피아노’는 2015년 광복 70주년을 기념하여 DMZ 철조망을 현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상징적인 작품이다. 전시실 곳곳에 걸려있는 분단 역사, 6.25 전쟁 자료, 남북 교류 관련 전시와 영상실에서 상영되는 통일 교육 다큐멘터리는 관람객들에게 분단의 현실을 다각도로 보여준다.
야외 전망대에서는 불과 몇 킬로미터 떨어지지 않은 개성 시내와 북한 마을의 논밭, 건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날씨가 맑은 날에는 개성 공업지구 일대와 북한 주민들의 생활 모습까지 망원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서울 도심에서 약 한 시간 남짓이면 도착할 수 있는 뛰어난 접근성 덕분에 연간 약 100만 명의 국내외 관광객이 방문하는 인기 있는 안보 견학지이다. 기자가 망원경으로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는 개성 주민의 일상을 엿보았던 것처럼, 이곳은 ‘가깝지만 먼 나라’의 현실을 체감하게 하는 살아있는 현장이다.
이처럼 분단의 현실과 통일의 가능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장소가 바로 오두산 통일전망대이다. 이러한 현장 경험은 2026년 통일부 예산안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더욱 풍부하게 한다. 지난해보다 약 20% 이상 증액된 1조 2,378억 원 규모의 예산안은 남북협력기금 1조 25억 원을 포함하여 인도적 지원, 경제 협력 사업, 문화 교류 및 국민 공감 프로젝트 등 다방면에 걸쳐 투입된다. 특히 체험 사업, 민간 통일운동, 통일 문화 교육 등이 새로 포함되어 국민들이 통일 관련 정책을 더욱 생생하게 ‘보고 느낄’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6년 통일부 예산은 크게 네 가지 분야로 배분된다. 첫째, 이산가족 지원과 구호 활동에 약 6,810억 원이 책정된 <인도적 문제 해결>이다. 둘째, 교류 협력 보험, 경제협력 대출 등을 포함하여 남북 교류 재개 시 활용될 토대를 마련하는 <경제협력 기반 조성>이다. 셋째, 남북 간 문화·체육 교류, 민간 교류 사업 등이 반영된 <사회문화 교류>이다. 마지막으로, 통일 문화 체험, 민간단체 지원, 사회적 대화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 <국민 공감 확대>이다.
이러한 예산 항목들은 단순히 ‘정책 사업’에 머무르지 않고, 국민이 통일 문제를 ‘체험’할 기회를 넓히는 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오두산 통일전망대 이용객이 DMZ 생생누리를 방문할 경우 입장료를 반액 할인해주는 ‘DMZ 연계할인’은 이러한 정책의 실제적인 연결성을 보여준다. 이는 결국 통일·안보 정책이 단순한 정부 문서 속 숫자가 아니라, 국민의 삶 속에서 통일에 대한 생각을 어떻게 가져다줄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을 증폭시킨다.
결론적으로,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마주한 북한 너머의 풍경은 증액된 규모와 신규 사업으로 구성된 2026년 통일부 예산안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한다. 그러나 예산이 책상 위에만 머무르지 않고 ‘체감되는 정책’으로 존재하기 위해서는 집행 가능성, 남북 관계의 흐름, 주민과 민간단체의 참여, 지역 인프라 정비 등이 유기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화창한 날씨 속 오두산 통일전망대의 풍경처럼, 눈앞의 현실이 통일의 가능성을 상상하게 하는 공간들을 지원하는 예산의 힘이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