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이 제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며 산업 경쟁력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지만, 이러한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산업 현장의 안전과 예측 불가능한 문제 해결이라는 근본적인 과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최근 ‘제1회 산업 AI 엑스포’ 현장에서 확인된 다양한 AI 솔루션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미래 산업을 위한 안전망을 구축하려는 노력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지난 9월 4일부터 6일까지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회 산업 AI 엑스포’는 ‘AI와 산업의 융합, 새로운 산업혁명을 이끌다’라는 주제 아래 국내 100여 개 기업이 참여하며 산업 현장의 AI 적용 현황을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특히, 이번 엑스포는 하드웨어에 탑재되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온 디바이스 AI’에 주목하며, AI가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실질적인 문제 해결 도구로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HP 코리아는 고성능 CPU와 GPU를 탑재한 워크스테이션과 VLM 기술을 선보이며 AI 개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모빌린트는 기존 GPU보다 AI 연산에 훨씬 최적화되어 전력 비용을 60% 절감할 수 있는 NPU를 공개하며 효율성 증대 방안을 제시했다.
엑스포의 핵심은 로봇 분야에서의 AI 적용이었다. 에이 로봇의 휴머노이드 로봇 ‘에릭스’는 주사위 게임과 물통 전달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며 인간과의 상호작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클레비는 초거대 언어 모델 기반 AI를 드론과 로봇에 적용하여 사람의 동작을 그대로 복제하는 시연을 통해 AI의 높은 활용도를 증명했다. 이는 산업 현장이 사람에게 맞춰져 있다는 점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즉각적인 투입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지만 배터리 문제와 같은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로봇 팔과 같이 특정 작업에 특화된 로봇들이 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조 공정에서 로봇 팔에 탑재되는 AI를 개발하는 스포티는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에서도 나사를 완벽하게 맞추는 기술을 시연하며, 소량 맞춤 생산 시스템에 적합한 AI의 뛰어난 대처 능력을 입증했다. 농업 현장에서 블루베리를 운송하는 로봇 ‘일로’는 AI가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작업 효율을 높이는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 나아가 AI는 산업 현장의 안전 확보와 정확성 증대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었다. AI는 제조 전 과정에 걸쳐 생산 부품을 최적화하고, 품질을 예측하며, 잠재적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는 데 활용되었다. 특히, 디지털 트윈 기술과의 결합은 이러한 예측의 정확성을 한층 높였다. 사무실에서 공장의 모든 설비를 가상공간에 구현한 디지털 트윈을 통해 현장 설비의 실시간 생산 상태와 불량 이미지 등을 손쉽게 확인함으로써, 실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해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정확하고 안전한 AI 기술의 발전은 산업 현장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신뢰도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AI는 더 이상 먼 미래의 기술이 아닌, 이미 우리 산업 현장에 깊숙이 들어와 있으며, 인간의 판단을 돕고 예측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산업 AI 엑스포’를 통해 확인된 AI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은 한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며, 산업 현장에 안전과 효율성을 동시에 가져다줄 혁신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