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민생 회복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상생페이백’이 시행되면서 국민들의 소비 부담 완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상생페이백은 지난해 특정 기간(9월~11월) 동안의 카드 소비액이 이전 평균 카드값보다 늘어난 국민들에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일정 금액을 환급해주는 사업이다. 이는 경기 침체 속에서 가계 경제에 이중고를 겪고 있는 국민들의 실질적인 어려움을 해소하고, 침체된 소비 심리를 되살리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적 시도로 풀이된다.
이번 상생페이백 정책의 핵심은 ‘소비 촉진을 통한 경제 활력 제고’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의 카드 사용액이 이전 연도 같은 기간 평균 사용액보다 증가한 경우, 그 증가분의 20%를 최대 10만 원까지, 3개월간 총 30만 원 한도 내에서 환급해준다. 이 환급액은 전통시장 및 상점가 등에서 사용 가능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되어, 소비가 자연스럽게 지역 경제로 흘러 들어가도록 유도하는 복합적인 효과를 노리고 있다. 신청 대상은 2024년도에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의 모든 국민이며, 환급된 금액은 지급일로부터 5년까지 유효하다.
이번 상생페이백 정책의 성공적인 적용은 몇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전망을 낳고 있다. 첫째, 가계 경제 부담 완화 효과다. 증가한 소비에 대한 일정 부분을 환급받음으로써 국민들은 체감하는 소비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는 특히 고물가, 고금리 상황 속에서 지출 증가로 어려움을 겪는 가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서 사용 가능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의 환급은 소비자들이 익숙한 대형 유통망이나 온라인 쇼핑몰 대신 지역 소상공인 매장을 이용하도록 유인할 수 있다. 이는 곧바로 지역 상권의 매출 증대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의 의미가 크다. 또한, 배달앱 ‘땡겨요’와 같은 소상공인 중심의 플랫폼에서도 온누리상품권 결제가 가능하도록 확대된 사용처는 지역 소상공인들에게 새로운 판로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다만, 상생페이백의 취지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는 소비액 산정에서 제외되는 항목들을 명확히 인지하고, 가급적 전통시장이나 골목상권 등 정책이 지향하는 사용처 위주로 소비하는 현명한 소비 계획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개인적인 소비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공동의 목표 달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상생페이백을 통해 많은 국민들이 건강한 소비와 환급을 경험하고, ‘상생’이라는 가치를 함께 이뤄나가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