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더운 여름, 사람들은 시원함을 갈망하며 다양한 방법을 찾는다. 과거에는 납량특집 프로그램과 더불어 빙수가 여름 더위를 쫓는 대표적인 음식이었다. 1970년대, 학교 앞 분식집이나 만화가게에서는 십 원이면 수동 빙수기계로 만든 빙수를 맛볼 수 있었다. 에펠탑 모양의 주물 빙수기계로 갈아낸 얼음에 색소를 뿌려주던 풍경은 지금도 생생하다. 당시에는 돈이 없어 침을 흘리며 구경만 해야 했던 사람들도 많았다.
좀 더 고급스러운 빙수는 시내 제과점에서 맛볼 수 있었다. 우유와 연유를 넣어 곱게 간 얼음으로 만든 팥빙수나 후루츠칵테일 빙수는 동네 빙수와는 격이 다른 부드러운 맛을 선사했다. 산처럼 쌓아 올린 얼음이 금세 녹아내리는 것을 보며 마치 자신의 마음이 무너지는 듯한 아쉬움을 느끼기도 했다. 1990년대 이후 눈꽃 빙수가 등장하며 빙수는 계절 음식을 넘어 사계절 별미로 자리 잡았다. 이제는 빙수 전문 카페와 호텔에서 경쟁적으로 고급 빙수를 선보이며 ‘빙수 왕국’이라 불릴 만한 시대가 되었다.
하지만 진짜 빙수의 맥을 잇는 곳은 단연 부산이다. 부산의 국제시장, 광복동, 용호동에는 빙수 거리가 형성될 만큼 빙수에 대한 시민들의 애정이 깊다. 부산 사람들에게 빙수는 ‘할매’라는 이름과 함께 서민적인 정서를 담고 있다. 부산 빙수는 불필요한 고명 대신 푸짐하게 얹은 팥이 특징이다. 팥빙수의 원조 격으로 알려진 ‘눈꽃 빙수’보다도, 부산 시민들은 소박하고 투박한 ‘할매 빙수’를 더 사랑한다. 너무 달지 않은 팥은 마치 할머니의 정을 담은 듯 푸짐하게 얼음 위에 얹혀 나온다. 한 그릇을 다 비우고 나면 단순한 간식이 아닌 든든한 한 끼 식사를 한 듯한 만족감을 준다.
이러한 빙수에 대한 향수는 멀리 해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미국에 거주하는 한 지인은 여름이면 몇 시간씩 차를 몰아 냉면을 먹으러 갈 뿐 아니라, 팥빙수도 한 그릇 사 먹곤 한다. 그는 과거 서울 동빙고동에 살았던 추억을 떠올리며, 할아버지 대에는 겨울이면 한강에서 얼음을 부역했던 조상들을 생각한다고 전한다. 이는 과거 얼음이 얼마나 귀한 존재였는지를 보여준다.
조선 시대에는 여름철 얼음이 귀해 궁궐에서나 귀하게 다루어졌으며, 서민들은 겨울에 얼음을 볼 수 있는 것에 만족해야 했다. 왕실에서는 한강에서 채취한 얼음을 서빙고, 동빙고에 저장해 두었다가 음식 재료의 부패를 막는 냉장고 용도로 사용했다. 여름 얼음이 궁의 호사였던 시절, 지금 우리가 즐기는 팥빙수는 상상조차 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제는 얼음이 흔해져 최고의 음식이 된 팥빙수를 맛보기 위해 여름이 저물기 전에 부산으로 향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