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여름, 연이은 이상기후 현상으로 지쳐가는 시민들의 마음을 달래줄 문화 프로그램이 독립 서점에서 새롭게 열리고 있다. 매년 전국 도서관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올해는 서울 마포구의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에서도 개최되며, 특히 ‘영화로 보는 인문학’이라는 주제로 시민들의 인문학적 탐구 욕구를 자극하고 있다. 이는 일상에서 벗어나 심신을 재충전하고 싶은 욕구와, 접근하기 어렵다고 여겨졌던 인문학에 대한 흥미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도로 주목받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7월 21일(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며, 12세 이상(영화 ‘그녀’는 15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이상명 ‘가가77페이지’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생각의 밭과 마음의 밭을 넓히는 것”이라며, “어렵게 느껴지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친숙한 영화와 관련 서적을 통해 깊이 있게 다루고자 프로그램을 기획했다”고 밝혔다. 이는 인문학이 더 이상 학문적 전문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대중이 일상 속에서 쉽게 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내고자 하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의 취지를 잘 보여준다.
프로그램의 첫 회차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상영한 후,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이라는 주제로 강연과 참여자들의 생각을 나누는 시간으로 구성되었다. 영화 속 키팅 선생의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이라는 메시지처럼, 참여자들은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진정으로 원하는 삶에 대해 성찰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이번 프로그램은, 영화라는 대중적인 매체를 통해 인문학적 사유를 이끌어내고, 참여자들이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공유하며 서로에게 영감을 주고받는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이는 ‘가가77페이지’가 단순한 책 판매 공간을 넘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려는 의지를 반영한다. 이상명 대표는 “책방이야말로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할 여지가 가장 많은 곳”이라며, “문화의 많은 것들을 담고 즐기며 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남고 싶다”고 말했다. 또한, 인공지능 시대에 인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AI가 발전할수록 인문학을 활용할 수 있는 영역은 커진다”고 주장했다. 인문학적 사고 체계가 AI에 접목될 때 더욱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넘어 도덕적인 판단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프로그램 참여자인 박근주 씨 역시 “단순히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그 속에 담긴 인문학적 사유를 제 삶에 연결하고 싶었다”며, “일상의 반복적인 흐름에서 벗어나 강연자와 참여자들과 소통하며 삶에 리듬감을 느끼고 싶다”고 프로그램 참여 계기를 밝혔다. 그는 더불어 “프로그램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져, 인문학의 깊이를 꾸준한 성찰과 대화를 통해 더해갈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기를 바란다”는 바람을 전하기도 했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도서관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사업으로,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는 표어 아래 지역 문화와 책, 저자와 독자, 공공도서관과 주민을 잇는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열고 있다. ‘가가77페이지’와 같은 독립 서점에서 진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침체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고 인문학적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하며, 나아가 지역 서점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