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공연 예술 분야의 전국적인 활성화와 지역 공연 단체의 자생력 강화라는 숙제가 여전히 지역 공연예술계의 발목을 잡고 있다. 특히 무용, 뮤지컬, 연극, 음악, 전통 등 기초 공연예술 분야는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연 기회가 적고, 작품 유통 및 홍보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은 우수한 예술 작품이 지역 주민들에게 제대로 향유될 기회를 박탈할 뿐만 아니라, 지역 예술가들의 창작 활동 의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러한 지역 공연예술계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6년 공연예술 지역유통 지원사업’을 통해 실질적인 지원에 나선다. 이 사업은 서울 외 지역에 소재한 공연 단체와 공연장을 대상으로 하며, 기초 공연예술 5개 분야의 공연 작품들이 전국적으로 유통될 수 있도록 문예회관 등 공공 공연장과 민간 공연예술 작품 간의 연결을 지원한다. 이미 올해 사업을 통해 전국 177개 공연 시설에서 223개의 공연 작품(203개 공연 단체)을 지원했으며, 8월 기준 134개 지역에서 714회의 공연을 개최하여 14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내년도 지원 사업은 공연 단체와 공연 시설 간의 균형 잡힌 지원을 목표로 더욱 세심하게 설계되었다. 공연 단체와 공연 시설의 수요를 동시에 반영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여, 신청 과정에서부터 참여자들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절차를 간소화했다. 신청 요건을 충족하는 공연 단체와 공연 시설은 별도의 심의 과정 없이 단체, 작품, 시설별 기준에 따라 총예산 범위 내에서 상호 선택한 공연을 지원받게 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는 단체·작품·시설의 자격 요건을 검토하고 예산을 지원하며, 실제 사업 운영은 공연 시설과 공연 단체가 공연 계약을 체결하여 협의·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공모 신청 방식도 기존 ‘이(e)나라도움’에서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새롭게 개발한 공연예술 전용 기업 간 플랫폼 ‘공연예술유통 파트너(P:art:ner)’로 변경하여, 소규모 공연장이나 신생 예술 단체도 정보 공유 및 교류를 통해 실질적인 교섭 기회를 넓힐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사업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문화체육관광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은 지역 공연예술의 자생력을 강화하고, 더 많은 지역민들이 수준 높은 공연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은향 문체부 예술정책관은 “공연예술 지역유통 지원사업은 우수한 기초예술 작품을 지역에서 공연할 수 있게 하여 공연단체의 자생력을 높이고 지역민의 문화 향유를 확대하기 위한 사업”이라며, “사업 공모 구조를 효율적이고 투명하게 개편하여 더욱 많은 예술인과 국민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공연예술 생태계가 더욱 풍성해지고, 예술가와 관객 모두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