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많은 청년들이 정책을 자신과 무관한 ‘외부의 결정’으로만 여기고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과거 정책은 단순히 장학금, 취업 지원, 문화 혜택 등 ‘받는 것’에 국한되어 인식되는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정책이 누군가의 기획과 실행을 통해 탄생하는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직접 현장에서 정책을 체험하며 이에 대한 문제의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제 청년들은 ‘내가 경험한 문제와 목소리가 정책 과정에 반영된다면 더 나은 제도가 만들어질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품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실에서 운영하는 ‘청년인재DB’가 주목받고 있다. 이 누리집은 청년들이 단순히 정책의 수혜자에 머무르지 않고 직접 정책을 제안하거나 집행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개인의 이력과 관심사를 등록하면 정책위원회, 자문단, 기자단 등 다양한 활동 기회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구조를 통해, 청년을 ‘정책을 받는 사람’에서 ‘정책을 만들어가는 사람’으로 전환시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청년인재DB’를 통해 개인은 단순히 정보를 받아보는 창구를 넘어, 자신의 기자단 활동 경험, 현장 정책 체험 사례, 그리고 청년 당사자로서 정책에 바라는 점 등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정책 과정의 한 축이 될 수 있다는 현실감을 얻게 된다. 또한, 프로필 등록 후 청년위원 등 다양한 정책 활동에 지원할 수 있으며, 이는 명예직이 아닌 청년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 의제에 대한 논의와 자문을 맡는 실질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더 나아가, 개인의 지원뿐만 아니라 프로필을 등록해두면 관련 담당자가 먼저 연락을 주고 참여를 제안할 수도 있어, 기회를 찾아다니는 수고로움을 덜고 정책과 청년을 효과적으로 연결해주는 매개체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청년인재DB’의 활용은 청년들이 더 이상 정책의 수동적인 수혜자에 머무를 필요가 없음을 보여준다. 프로필을 등록하고 관심사를 드러내며 정책에 목소리를 보탬으로써 제도 개선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이는 청년 스스로가 사회 변화를 만드는 동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취업, 주거, 교육, 문화생활 등 청년의 삶과 가장 밀접한 제도들이 정책에서 비롯되는 만큼, 청년이 직접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하고 제도를 감시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청년인재DB’는 이러한 가능성을 열어주는 관문으로서, 앞으로 더 많은 청년들이 이 제도를 알고 활용하여 정책을 ‘받는 것’에만 머무르지 않고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에 참여하는 청년이 늘어날수록 정책은 더욱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경험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필요한 자리에 참여하며, 청년 당사자의 관점에서 정책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주체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정책은 멀리 있지 않으며, 우리가 서 있는 자리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목소리를 내고 직접 참여하는 순간 정책은 우리 곁에서 살아 움직이게 된다. ‘청년인재DB’는 그 출발선이며, 이제는 더 많은 청년들이 그 문을 두드리고 함께 사회를 바꿔나가는 주체로 자리 잡기를 바란다.